과학자들은 2년 전 인도에서 최초로 디킨소니아 화석을 발견하여 인도 대륙이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바꾸어 놓았다. 이 ‘화석’이 처음부터 벌집에 불과했다는 사실이 새로운 연구에 의해 밝혀져 우리의 이해가 다시 한 번 바뀌었고, 원 논문을 썼던 과학자들도 새로운 발견을 지지하고 있다.
기타무척추동물
고대의 화석을 통해 연체동물이 어떻게 이빨을 가지게 되었는지 밝혀지다
[사이언스 데일리] 치설 – 수백 줄의 서로 맞물리는 이빨들이 붙어 있는 컨베이어벨트 – 이라고 하면 공포영화에 나오는 물건처럼 들린다. 사실 치설은 대왕오징어에서부터 정원의 달팽이까지 연체동물 대부분의 입에서 발견된다. 5억년 전의 화석에서 발견된 치설의 “원형” 은 가장 초기의 치설이 공포스럽게 살을 갉아내는 물건이 아니라 진흙으로 덮인 해저에서 먹이를 퍼올리던 보잘것 없는 도구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머니처럼 생긴 바다생물이 인류의 가장 오래된 조상이었다
[사이언스 데일리] 연구자들이 가장 오래된 인류의 조상이라고 생각되는 생물의 흔적을 찾아냈다. 아주 작은 해양생물인 이 화석은 약 5억4천만 년 전에 살았다.
오에시아의 비밀: 해저에 대롱 모양의 ‘집’ 을 만들었던 선사시대의 벌레
[사이언스 데일리] 대롱 모양의 화석으로 남겨진 ‘집’ 에 선사시대의 바다 밑바닥에 살던 원시적인 종류의 벌레가 거주하고 있었다는 것이 새로운 연구에서 밝혀졌다. 연구자들에 따르면 해저 퇴적층에 박혀있는 가느다란 굴뚝처럼 보이는 구멍 난 길다란 관 모양의 구조는 약 5억 년 전 이 관 안에서 고립된 생활을 했던, 오에시아(Oesia)라고 불리는 생물이 만든 것이라고 한다.
무작위적인 변이와 단백질의 변화가 다세포생물의 기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사이언스 데일리] 필요한 것이라고는 6억 년도 더 전에 일어난 변이 하나 뿐이었다.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이 무작위적인 사건으로 인해 단세포생물이었던 우리의 조상이 조직화된 다세포 유기체로 변화할 수 있게 해준 단백질의 새로운 기능이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한다.
전기장 스텔스 기술을 이용해 몸을 숨기는 갑오징어
[Phys.org] 갑오징어는 포식자가 근처에 나타나면 시각적으로 위장색을 이용해 몸을 숨길 뿐 아니라,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이들은 전기장을 감출 줄도 안다고 한다.
5억3천만 년 전의 아주 작은 벌레 화석이 발견되다
[사이언스 데일리] 남중국에서 발견된 역사적인 화석으로 절지동물과 가까운 관계인 작은 무척추동물인 키노린쿠스류 (kinorhynch) 의 화석 기록에 비어있던 커다란 간극이 채워지게 되었다.
수백 개의 눈이 달린 갑옷을 입은 동물
[The Atlantic] 많은 동물들이 몸을 보호하기 위해 갑옷을 만들어냈다. 껍질, 비늘, 골판, 그리고 프릴 등이 연조직으로 된 몸을 보호한다. 딱지조개라고 하는, 잘 알려지지 않은 해양동물 그룹은 자연에서 볼 수 있는 어떤 것과도 다른 갑옷을 진화시켰다.
초기 동물들이 서로 협력하며 진화했을까?
[Phys.org] 에디아카라 생물군이라고 불리는 화석 생물들은 오랫동안 연구자들을 괴롭혀왔다. 특이하게 생긴 이 유기체들은 현재의 유기체들과 어떤 관계일까? 새로운 연구에서 스웨덴과 스페인의 연구자들은 에디아카라 생물군이 동물 진화에 있어서 이전에 시도되지 않았던 경로를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에디아카라 생물군이 다른 동물들의 진화에 끼쳤을지도 모르는 영향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동물의 진화: 해면동물이 가장 오래된 동물 문 (門 phylum) 이다
[사이언스 데일리] 해면동물과 빗해파리 중 어느 쪽이 먼저 나타났을까? 새로운 연구에서 해면동물이 가장 오래된 동물 문이라는 것을 재확인하고 최근의 분자생물학적 분석으로부터 도전을 받아온 초기 동물 진화의 고전적인 관점을 되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