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데일리]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수많은 다큐멘터리, 책, 그리고 블록버스터 영화에 영감을 준 포식성 거대 상어 ‘메갈로돈’ 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최소한 1백만년 정도는 일찍 멸종했을 것이라고 한다. 이런 변화는 상당히 큰 것인데, 1백만년에서 2백5십만년 전에 멸종했던 특이한 물범, 바다코끼리, 바다소, 쇠돌고래, 돌고래와 고래 등의 동물들이 멸종한 것보다 메갈로돈이 훨씬 일찍 멸종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어류
‘우주선 모양’의 이빨을 가진 고대의 수염상어가 발견되다
[사이언스 데일리] 1980년대에 인기 있었던 전자오락 갤러거에 나오는 우주선을 닮은 자그마한 이빨을 가진 민물 상어 종이 새롭게 발견되면서 공룡이 살던 세상이 좀 더 기묘해졌다.
3억6천만 년 전에 살던 네발동물 아칸토스테가의 생활사를 통해 네발동물이 땅 위로 올라온 역사를 새로 쓰다
[사이언스 데일리] 연구자들이 3억6천만 년 된 네발동물 아칸토스테가의 화석들이 모두 성체가 아니라 어린 개체들이라는 것을 보였다. 아칸토스테가는 어류와 육상동물의 중간 형태로 상징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동물 중 하나이다. 이번 결론은 고해상도 싱크로트론 X-레이를 이용하여 화석 다리 뼈를 스캔한 결과에 기반한… Read More ›
고대 어류는 어린 시절을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사이언스 데일리] 고대 어류 새끼 화석 여러 점이 한꺼번에 발견되어 멸종한 이들 어류가 어린 시절을 어떻게 살아남았는지, 그리고 오늘날의 어류가 이들과 얼마나 비슷한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주고 있다.
새로운 기법을 이용해 지느러미가 어떻게 손가락이 되었는지를 더 잘 이해하게 되다
[사이언스 데일리] 물고기의 지느러미를 구성하는 세포가 네 다리를 가진 동물의 손가락과 발가락 형성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지느러미에서 손가락으로의 전환은 어류의 후손이 땅 위를 걷는 동물이 되기 위해 필요했던 큰 변화 중 하나다.
네발 달린 포유류나 양서류처럼 걷고 폭포를 거슬러오를 수 있는 눈먼 동굴고기
[사이언스 데일리] 연구자들이 태국에서 독특한 해부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걸어다닐 수 있는 눈먼 동굴고기를 발견했다. 이 어류는 네발동물, 즉 다리가 네 개 있는 포유류나 양서류와 비슷한 방식으로 걷고 폭포를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거대한 입을 가진’ 기묘한 물고기가 백악기 지층에서 발견되다
[사이언스 데일리] 공룡이 지구를 활보하던 약 9천2백만 년 전의 백악기 지층에서 린코니크티스 (Rhinconichthys) 라는 속명을 가진 플랑크톤을 먹던 화석 어류 두 종이 새롭게 발견되었다.
1964년 알래스카 지진 이후 빠르게 진화한 작은 물고기
[사이언스 데일리] 진화는 빠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1964년 알래스카 지진 이후 수십 년 동안 진화한 — 유전체와 외부에서 볼 수 있는 표현형 두 측면 모두에서 — 작은 어류 종을 살펴보자.
동물의 줄무늬를 설명하는 수학적 모델
[사이언스 데일리] 호랑이의 등은 빈 캔버스였을 수도 있다. 하지만 자연은 큰 고양이의 몸에 나란한 줄무늬를 고른 간격으로 척추와 직각이 되게 배열해 놓았다. 과학자들은 줄무늬가 정확히 어떻게 발생하는지 몰랐지만 수학자들은 1950년대부터 가능한 시나리오들을 모델링해왔다. 살아있는 존재들에서 줄무늬의 형성을 제어하는 변수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연구자들이 이러한 여러 개의 모델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방정식으로 만들어냈다.
고대의 멸종으로 인해 작은 물고기가 주를 이루게 되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3억 5천9백만 년 전 한겐버그 멸종으로 알려진 대량멸종으로 인해 지구의 척추동물 군집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 오래도록 지속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