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데일리] 수염고래 조상의 이빨과 법랑질을 조사한 연구를 통해 현생 수염 고래 진화의 수수께끼를 풀 수 있는 단서 하나가 추가되었다.
포유류
몸길이 15미터의 고래 조상인 바실로사우루스 이시스는 바다의 최상위 포식자였다
[사이언스 데일리]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고래 조상 바실로사우루스 이시스의 위장 내용물로 추정해보면 바실로사우루스는 최상위 포식자였던 것으로 생각된다고 한다.
고래의 초음파 청력은 놀랄 만큼 오래되었다
[사이언스 데일리] 현재 살고 있는 이빨고래는 물 속을 누비고 사냥을 할 때 자신들의 울음소리가 일으키는 반향에 의존하는데, 이 기술은 고주파음을 들을 수 있는 청력이 있어야만 제대로 작동한다. 고대 고래의 귀 중 가장 잘 보존된 화석을 연구한 학자들에 따르면 고주파음을 들을 수 있는 청력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일찍 생겨났다고 한다.
멸종한 육식성 유대류가 새롭게 발견되다
[사이언스 데일리] 약 5억년 전, 건조해져가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숲을 공포에 떨게 했던 멸종한 육식성 유대류의 신종 화석이 퀸즐랜드 북서부의 외딴 곳에서 발견되었다. 초육식성이었던 이 동물은 오스트레일리아에 현재 사는 동물 중 가장 큰 육식성 유대류인 태즈메니아 데블의 먼 사촌 격으로 그보다도 훨씬 큰 몸집을 가지고 있었다. 홀리둘레야 톰파트리코룸 (Whollydooleya tomnpatrichorum) 이라고 명명된 이 동물은 ‘뉴리버슬레이’ 라고 이름붙여진 퀸즈랜드의 새 화석 발굴지에서 발견된 기묘한 여러 종류의 동물들 중 최초로 동정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빨이 마모된 흔적을 보고 고대 코끼리 친척의 식습관을 알아내다
[사이언스 데일리] 고대에 살았던 동물들이 무엇을 먹었는지는 대체 어떻게 알수 있을까? 지난 2백만 년 동안 중국에 살던 코끼리의 식단 변화가 이들 치아의 표면조직을 분석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최초로 재구성되었다.
우리 조상들은 공룡 멸종 이후 더 빨리 진화했다
[사이언스 데일리] 우리 조상들은 공룡이 멸종한 후 1천만년 동안 그 이전 8천만년보다 세 배 더 빠르게 진화했다고 한다. 연구팀은 유태반류 포유류 — 오늘날 인간을 포함해 5천 종이 속하는 — 의 진화 속도가 멸종 사건 이전에는 일정했으나 그 이후에는 폭발적으로 빨라져 오늘날 우리가 보는 다양한 종류의 포유류가 생겨났다는 것을 알아냈다.
털, 깃털 그리고 비늘의 공통 기원
[사이언스 데일리] 포유류의 털, 새의 깃털, 그리고 피충류의 비늘이 가지고 있는 진화적 관련성은 수십년 간 논쟁거리였다. 연구자들이 모든 피부 부속지들(skin appendages)이 상동기관이라는 것을 보였다. 배아 발생과정 분석에 기반하여 생물학자들은 털, 깃털, 그리고 비늘의 초기 발생단계에서 분자 및 미세해부학적 특징들이 동일하다는 증거를 밝혀냈다. 이 관찰결과들에 따르면 털과 깃털, 그리고 비늘 세 가지 구조는 파충류와 유사했던 공통조상으로부터 진화한 것이라고 한다.
포식자들을 피하기 위해 초기 포유류는 어떻게 야간시력을 진화시켰나
[사이언스 데일리] 초기 포유류는 낮 시간 동안 공룡들이 지배적인 포식자였던 쥐라기 당시에 야행성 생활방식을 받아들이며 폭발적으로 진화했다. 이들 초기 포유류가 먹을 것을 찾고 살아남기 위해 어떻게 진화했는지는 수수께끼였는데,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이 시기에 포유류의 눈에 위치하여 색깔을 감지하는 원뿔세포가 빛에… Read More ›
포유류가 지구를 장악하기 시작한 것은 공룡 멸종보다 훨씬 이른 시기였다.
[사이언스 데일리]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널리 알려진 것과는 달리 포유류들은 공룡의 멸종보다 1천만년에서 2천만년 이전에 대규모로 분화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독을 지닌 멸종위기의 포유류는 공룡들이 멸종하기 이전에 기원했다고
독을 지닌 식충류 포유류로 멸종위기에 놓여있는 솔레노돈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가 해독되었다. 이 동물은 여타 현생 포유류와는 7천8백만 년 전에 갈라졌다고 한다. (2016년 5월 2일 사이언스 데일리 기사 번역) 정보출처: 일리노이 대학 어바나 샴페인 칼 워스 유전체생물학 연구소 생물학자들이 히스파니올라 섬에서 발견되는…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