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데일리]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인류는 석기 시대부터 벌을 이용해왔다고 한다.
인류학
베링 육교에서 오래 머물렀던 고대인들
[사이언스 데일리] 과학자들이 알래스카에 11,500 년 전에 매장된 두 명의 유아로부터 추출한 모계 유전물질을 해독했다. 이 유아들은 어머니가 달랐으며 남아메리카와 북아메리카 전체에 퍼져 있는 두 계통의 아메리카 원주민들과 가까운 관계인 인류로는 가장 북쪽에서 발견된 유해이다. 이번 연구는 아메리카 원주민이 아시아에서 베링 육교를 건너온 사람들로부터 유래한 것이며 1만 년 가량 베링 육교에 머무르다가 15,000 년 전부터 남북아메리카로 이주했다는 이론과 잘 들어맞는 것이다.
새로운 인류 종을 발견한 과학자가 너무 빨리 엉성한 연구결과를 내놓는다고 비판받다
[가디언] 호모 날레디를 발견한 연구팀을 이끈 과학자가 연구결과를 너무 빨리 내놓으면서 기본적인 오류를 저지른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고대의 DNA 를 조사하여 페스트가 (이전에 생각하던 것보다) ‘두 배나 오래된’ 것이지만 처음에는 벼룩을 통해 옮는 것은 아니었다는 것을 밝히다
[사이언스 데일리] 새로운 연구를 통해 페스트의 최초 발생 시기가 청동기 시대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되었다. 페스트는 최초의 전세계적 발병 기록보다 수천 년 이전부터 유라시아의 인류와 함께해 왔으며 고대의 페스트로부터 벼룩이 옮기는 선페스트로 변이가 일어난 것은 기원전 2천년 이내라는 것이 이번 연구에서 밝혀졌다.
생각보다 일찍 아프리카를 떠난 현생 인류
[Phys.org] 중국 남부에서 발견된 인간의 치아가 수요일에 출판된 한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이 치아로 인류가 아프리카를 떠난 것이 지금까지의 지배적인 이론에서 받아들여지던 것보다 7만여 년까지 더 이른 시기였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고대 아프리카인의 유전체가 최초로 해독되다
[사이언스 데일리] 아프리카에 살던 고인류의 유전체가 최초로 해독되어 3,000 여년 전, 유라시아 서부에서 아프리카로 거꾸로 이주해간 인파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두 배나 중요했으며 아프리카 대륙 전역의 인구집단의 유전적 조성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 밝혀졌다.
인류 친척의 발 화석이 보여주는 이족보행의 ‘뒤죽박죽’ 진화
[사이언스 데일리] 남아프리카의 동굴에서 발견되어 지난달에 세상에 공개된 멸종한 인류의 친척 호모 날레디에 대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이들의 몸에서 가장 현생 인류와 비슷한 부분이 발이긴 하지만 호모 날레디는 우리와 같은 방식으로 걷지는 않았다고 한다. 107 개의 발 뼈를 분석한 결과 호모 날레디는 곧게 서고 두 다리로 걸어다닐 수 있도록 잘 적응한 상태였지만 나무도 쉽게 올랐을 것이라고 한다.
이상희, 윤신영 – 인류의 기원: 독후감 part 2
혹은 책을 읽다가 눈에 뜨인 몇 가지 논점들에 대한 내 생각. 실수로 앞부분이 먼저 올라가서 별도의 글로 씁니다. 독립적인 글의 성격이 있기도 해서, 의도한 바는 아니지만 이것도 괜찮네요.
이상희, 윤신영 – 인류의 기원
과학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 한국어로 글을 쓰는 저자는 매우 반가운 존재다. 물론 수로 따지자면 훌륭한 외국 저자들의 수가 압도적일테고 그만큼 좋은 책도 많을 것이며 번역서의 품질도 예전과는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좋아지기는 했지만, 번역서보다 처음부터 한국어로 쓰여진 글이 훨씬… Read More ›
목이 잘려 제의에 이용된 9천 년 전의 인골이 브라질에서 발견되다
[사이언스 데일리] 목이 잘려 제의에 이용된 9천 년 전의 인골이 브라질 라파 도 산토의 바위동굴에서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