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멸종

거대상어 ‘메갈로돈’은 생각보다 일찍 멸종했다

[사이언스 데일리]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수많은 다큐멘터리, 책, 그리고 블록버스터 영화에 영감을 준 포식성 거대 상어 ‘메갈로돈’ 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최소한 1백만년 정도는 일찍 멸종했을 것이라고 한다. 이런 변화는 상당히 큰 것인데, 1백만년에서 2백5십만년 전에 멸종했던 특이한 물범, 바다코끼리, 바다소, 쇠돌고래, 돌고래와 고래 등의 동물들이 멸종한 것보다 메갈로돈이 훨씬 일찍 멸종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중국을 활보했던 ‘가장 못생긴 화석 파충류’

[사이언스 데일리] 공룡보다 훨씬 먼저 파레이아사우루스류라고 불리는 커다란 초식동물이 지구를 지배했다. 한 고생물학자가 파레이아사우루스류 중에서 중국에서 발견된 모든 표본들에 대해 최초로 자세한 조사를 하여 논문으로 발표했다. 파레이아사우루스류는 ‘가장 못생긴 화석 파충류’ 라고 불리기도 한다.

공룡 멸종 직후 포유류의 다양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사이언스 데일리]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지구 상의 포유류 다양성은 공룡 멸종 사건 직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한다. 화석 기록에 대한 새로운 분석에서 인류를 포함하여 오늘날 거의 5천 종의 동물이 속하는 유태반류 포유류가 멸종 사건 이후 1천만 년에 걸친 팔레오세 기간 동안 해부학적으로 훨씬 다양해졌다는 것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