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데일리] 후기 백악기에 살았던 오비랍토로사우루스류의 새로운 종이 몽골에서 발견되었다. 고비랍토르 미누투스의 불완전한 골격은 어린 개체였던 것으로 보인다.
백악기
수백 개의 알 화석이 익룡 발생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주다
[사이언스 데일리] 귀중한 익룡의 알이 200개 이상 한꺼번에 발견되어 익룡의 발생과정과 알품기 습성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던져주고 있다
버마의 호박 속에 보존된 초기 새의 날개
[사이언스 데일리] 중국에서는 공룡시대에 살았던 새의 화석이 놀랍게 잘 보존된 채로 수천 점이나 발견되었다. 하지만 이들 화석은 대부분 암석 속에 납작하게 눌린 상태로 발견된다. 버마의 호박 매장층에서 새롭게 발견된 화석은 백악기 에난티오르니스류의 날개를 완벽한 상태로 입체적으로 보존하고 있다.
독을 지닌 멸종위기의 포유류는 공룡들이 멸종하기 이전에 기원했다고
독을 지닌 식충류 포유류로 멸종위기에 놓여있는 솔레노돈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가 해독되었다. 이 동물은 여타 현생 포유류와는 7천8백만 년 전에 갈라졌다고 한다. (2016년 5월 2일 사이언스 데일리 기사 번역) 정보출처: 일리노이 대학 어바나 샴페인 칼 워스 유전체생물학 연구소 생물학자들이 히스파니올라 섬에서 발견되는… Read More ›
‘거대한 입을 가진’ 기묘한 물고기가 백악기 지층에서 발견되다
[사이언스 데일리] 공룡이 지구를 활보하던 약 9천2백만 년 전의 백악기 지층에서 린코니크티스 (Rhinconichthys) 라는 속명을 가진 플랑크톤을 먹던 화석 어류 두 종이 새롭게 발견되었다.
일본에서 발견된 독특한 모사사우루스류 화석
[사이언스 데일리] 고대 해양 파충류인 모사사우루스류 중에서는 최초로 양안시를 가진 표본이 일본에서 발견되었다.
록 뮤지션의 이름을 따라 명명된 화석 불갯지렁이 종
[Phys.org] 근육질의 화석 불갯지렁이가 브리스톨 대학과 런던 자연사박물관의 과학자들에 의해 발견되어 펑크 뮤지션이자 스포큰 워드 아티스트인 헨리 롤린스의 이름을 따라 롤린스카이타 미오플레나 (Rollinschaeta myoplena) 로 명명되었다.
사우스다코타에서 발견된 거대 랩터 화석
[디스커버] 과학자들이 북아메리카 화석 발굴지에서 인류에게 알려진 가장 큰 랩터 중 하나의 화석을 발견했다.
7600만 년 전 멸종한 돼지코 거북 화석이 유타에서 발견되다
[사이언스 데일리] 돼지코 모양을 한 신종 거북 화석이 그랜드 스테어케이스-에스칼란테 국가기념물에서 발견되었다. 2억 5천만 년에 걸친 거북의 진화 역사에서 돼지코 모양을 한 거북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플랑크톤을 먹는 새로운 계통의 선사시대 상어가 발견되다
[사이언스 데일리] 플랑크톤을 먹는 새로운 계통의 멸종한 상어, 프세우도메가카스마 (Psuedomegachasma) 가 국제 과학자팀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 상어는 공룡 시대였던 약 1억년 전 따뜻한 바다에 살았다. 이 화석 상어는 오늘날 플랑크톤을 먹는 넓은주둥이상어와 비슷하게 아주 작은 이빨들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