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아메리카

북아메리카에서 보기 드문 쥐라기의 산호가 발견되다

[사이언스 데일리] 대량멸종 사건은 해양환경의 진화를 특정 시점에서 단절시키게 되며, 그로부터 생물상이 회복하는 과정에서 주요한 생물상의 변화를 이끌어낸다. 멸종 이후의 회복 단계에서 해양 유기체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이해하는 일은 변화의 동역학에 대한 통찰을 얻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런 변화는 많은 경우 생물상의 전반적인 재정립으로 이어진다.

선사시대 바다의 포식자였던 거대 바다전갈 펜테콥테루스

[사이언스 데일리] 바다 생물 이름이 고대 그리스 전함에서 가져온 것이라면 그 생물은 포식자의 위용을 갖추고 있으리라는 짐작이 가능하다. 그리스 최초의 갤리선 중 하나였던 펜테콘터를 연상시키는 거대 바다전갈, 펜테콥테루스(Pentecopterus)가 바로 이런 경우이다. 연구자들에 의하면 펜테콥테루스는 4억6700만년 전에 살았으며 몸길이는 최고 180cm 에 달했을 것이라고 한다. 지금까지 보고된 바다전갈(eurypterid) — 해양 절지동물의 하나로 오늘날의 거미와 진드기의 조상격이다 — 중 가장 오래된 종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