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기

바다의 독성이 복잡한 생명이 빠르게 진화하는 것을 방해했다

[사이언스 데일리] 고대 바다의 바닥에서 만들어진 암석을 조사하여 여러 나라의 과학자들로 이루어진 연구팀이 바다의 비소 농도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크게 변해왔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 아주 초기의 바다에서는 비소 농도가 대기 중의 산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함께 변화했으며 이것은 전지구적으로 빙하가 형성되고 사라지는 것과 시기적으로 일치했다고 한다.

이베리아 반도 최초의 이베리아스라소니를 만나다

[사이언스 데일리] 160만 년 전의 이베리아스라소니 화석 —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것 — 이 바르셀로나의 한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이번 발견은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는 고양이 종의 기원에 대한 실마리를 던져줄 뿐 아니라 이베리아스라소니가 원래 생각했던 것보다 50만 년 더 이른 시기에 이베리아 반도에 출현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찾을 수 있는 모든 매머드의 유해를 이용해 마지막 빙하기 동안 매머드의 분포지역을 알아내다

[사이언스 데일리] 빙하기를 연구하는 고생물학자가 마지막 빙하기 동안의 털매머드 지리적 분포 최대치를 알아내고 이 분포에 대한 가장 정확한 지도를 발표했다. 빙하기에 살던 이 거대한 동물은 총 33,301,000 제곱킬로미터의 영역에 살았으며, 이 시기의 대형 포유류 중 가장 성공적인 동물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털매머드의 분포가 몇몇 기후와 관련된 요인, 그리고 기후와 관련되지 않은 요인들에 의해 제한되었다는 것도 알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