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데일리] 불면증 환자, 용기를 얻다: 인류는 가장 가까운 동물 친척보다 훨씬 적은 시간만 잠을 잔다. 영장류 21 종의 수면 패턴에 대한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그 비밀은 우리의 잠이 훨씬 효과적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영장류
리비아 분쟁 와중에 초기 진원류의 신종 화석이 발견되다
[사이언스 데일리]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진원류 유인원 — 오늘날의 원숭이, 영장류 및 인류의 조상격인 동물 — 이 리비아에서 발견되었다. 연구자들은 신종의 이룸을 아피디움 주에티나 (Apidium zuetina) 라고 붙였다.
백만 년 된 원숭이: 화석 영장류가 오래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새 증거
[사이언스 데일리] 국제 과학자팀이 카리브해 지역에서 발견되는 화석 원숭이 종의 연대를 측정한 결과 100만 년이 조금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석 주위의 석회암 연대측정 작업을 한 연구의 주저자에 따르면 이 지역 영장류 화석의 연대가 다윈과 월래스 시절부터 과학자들을 어리둥절하게 해왔다고 한다.
영장류는 1600만년간 HIV 와 근연관계인 바이러스에 감염되어왔다
[사이언스 데일리]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숙주와 군비경쟁을 벌인다. 숙주에서는 항바이러스 유전자가 선택되어 숙주의 건강과 생존이 증진되고, 바이러스에서는 숙주의 항바이러스 요인에 대항하는 변이가 선택된다. 이러한 적응과 변이를 연구하면 숙주와 바이러스의 상호작용에 대해 먼 과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아프리카 원숭이의 항바이러스 유전자 염기서열에 대한 새로운 연구에서는 HIV 과 근연관계인 렌티바이러스 (lentivirus) 가 1600만년 전부터 아프리카의 영장류들을 감염시켜 왔다는 것을 밝혔다.
고대 중국의 기록을 통해 희귀 영장류의 쇠퇴를 추적하다
[사이언스 데일리] 400 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는 중국의 역사 기록을 이용해 오늘날 중국에서 가장 큰 멸종위기에 놓인 긴팔원숭이 분포의 변화를 추적했다. 이번 연구는 오래된 역사 기록을 이용하여 수 세기에 걸친 멸종의 과정을 재구성한 최초의 예이다.
구세계 원숭이는 작고 복잡한 뇌를 가졌다
[사이언스 데일리] 가장 오래된 구세계 원숭이 두개골 내부의 뇌가 최초로 시각화되었다. 빅토리아피테쿠스 (Victoriapithecus) 라는 이름을 가진 이 고대의 원숭이는 1500만년 전에 살았던 종류로 케냐 빅토리아 호수의 한 섬에서 두개골이 발견되었고, 1997 년에 최초로 보도되었다. X-레이 영상기법을 통해 이 생명체의 뇌가 작지만 놀랍도록 주름져 있고 복잡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발견은 영장류의 가계도에서 뇌의 복잡성이 뇌의 크기보다 먼저 진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장류의 움켜잡기에 대한 새로운 연구
[사이언스 데일리] 오래전부터 매우 뛰어났던 인간 및 영장류의 움켜쥐는 능력에 대해 과학자들이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가장 오래된 인류의 조상이 현대 인류와 비교할 만큼 정교한 움켜쥐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리라고 한다. 돌로 만든 도구에 대한 최초의 증거가 나타나기 백만년 전에 살았던 아우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도 여기에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