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빨

에나멜은 피부에서 진화했고 훨씬 나중에 이빨로 옮겨갔다

[사이언스 데일리] 우리의 치아를 덮고 있는 에나멜은 언제 진화했을까? 에나멜이 처음 생겨난 조직은 몸의 어느 부분이었을까? 새로운 연구에서는 연구자들이 서로 매우 다른 두 연구분야 — 고생물학과 유전체학 — 의 자료를 종합하여 이 질문에 대해 명확하면서도 예상치 못했던 답에 도달했다. 에나멜은 피부에서 기원했고 훨씬 나중에 이빨로 옮겨갔다.

육식공룡은 독특한 구조의 이빨을 가지고 살과 뼈를 효과적으로 씹을 수 있었다

[사이언스 데일리] 쥬라기 월드 같은 영화 속을 활보하는 티라노사우루스를 비롯한 수각류 공룡들이 성공적인 포식자가 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톱니모양의 독특한 이빨구조 때문이었는데,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이 구조 덕분에 수각류 공룡들은 다른 공룡들의 뼈와 살을 쉽게 분리할 수 살과 뼈를 쉽게 잘라낼 수 있었다고 한다.

잊혀진 화석에서 이빨의 기원을 알아내다

[사이언스 데일리] 4억1000만년 된 화석 어류 로문디나 스텔리나 (Romundina stellina) 의 작은 치판을 통해 이빨이 최근 생각되던 것보다 더 이른 시기에 진화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턱과 이빨은 척추동물의 진화에 있어서 중요한 혁신이었다. 척추동물의 98% 이상이 턱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