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유류

털, 깃털 그리고 비늘의 공통 기원

[사이언스 데일리] 포유류의 털, 새의 깃털, 그리고 피충류의 비늘이 가지고 있는 진화적 관련성은 수십년 간 논쟁거리였다. 연구자들이 모든 피부 부속지들(skin appendages)이 상동기관이라는 것을 보였다. 배아 발생과정 분석에 기반하여 생물학자들은 털, 깃털, 그리고 비늘의 초기 발생단계에서 분자 및 미세해부학적 특징들이 동일하다는 증거를 밝혀냈다. 이 관찰결과들에 따르면 털과 깃털, 그리고 비늘 세 가지 구조는 파충류와 유사했던 공통조상으로부터 진화한 것이라고 한다.

포식자들을 피하기 위해 초기 포유류는 어떻게 야간시력을 진화시켰나

[사이언스 데일리] 초기 포유류는 낮 시간 동안 공룡들이 지배적인 포식자였던 쥐라기 당시에 야행성 생활방식을 받아들이며 폭발적으로 진화했다. 이들 초기 포유류가 먹을 것을 찾고 살아남기 위해 어떻게 진화했는지는 수수께끼였는데,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이 시기에 포유류의 눈에 위치하여 색깔을 감지하는 원뿔세포가 빛에… Read More ›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해주는 토끼의 조상

[사이언스 데일리] 토끼의 조상으로 약 1천4백만 년 전, 마이오세에 현재의 시베리아에서 살았던 암필라구스 토미다이 (Amphilagus tomidai) 가 최근에 발견되었다. 이전에는 유럽에만 존재한다고 생각되었던 과(family)에 속하는 이 포유류의 발견으로 두 대륙을 가로막던 자연적인 장벽인 고대의 파라테티스해 (Paratethys Sea)가 사라지면서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었으리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번 연구에서는 약 1천4백만 년 전 마이오세 중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시기에 러시아의 시베리아 남동부에서 발견된 신종 암필라구스 토미다이를 보고하고 있다. 오늘날 토끼의 조상인 암필라구스의 발견은 해당 시기에 아시아와 유럽이 어떤 관계였는지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이 동물 그룹이 널리 분포하고 있었다는 중요한 생물지리학적 접점을 보여준다.

공룡 멸종 직후 포유류의 다양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사이언스 데일리]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지구 상의 포유류 다양성은 공룡 멸종 사건 직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한다. 화석 기록에 대한 새로운 분석에서 인류를 포함하여 오늘날 거의 5천 종의 동물이 속하는 유태반류 포유류가 멸종 사건 이후 1천만 년에 걸친 팔레오세 기간 동안 해부학적으로 훨씬 다양해졌다는 것을 보였다.

새로 발견된 신종 강돌고래의 화석

[사이언스 데일리] 스미소니언 연구소의 과학자들과 동료들이 파나마에서 발견된 화석 조각들을 주의깊게 조사하여 오래 전에 멸종한 새로운 속 새로운 종의 강돌고래를 발견해냈다. 연구팀은 돌고래의 학명을 이스트미니아 파나멘시스(Isthminia panamensis) 라고 붙였다. 이 표본은 새로운 종을 알려주었을 뿐 아니라 오늘날의 민물 강돌고래 종의 진화에 대해 새로운 실마리를 던져 주었다.

인간이 없었다면 전세계가 세렝게티 같았을 것

[사이언스 데일리] 대형 포유류들의 다양성이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다는 사실은 기후나 환경적인 제약이 아닌, 과거 인류의 활동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것이 현생 인류 (호모 사피엔스) 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전세계에 걸친 포유류 분포 지도가 어떨지를 알아본 새로운 연구의 결론이다.

아프리카의 샐러드바에서 보낸 4백만년

[사이언스 데일리]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아프리카에 풀이 점점 흔해지면서 지난 400만년 간 대부분의 주요 포유류 그룹들이 때로 풀을 뜯는 시도를 했으나 그 중 일부는 멸종했고 다른 일부는 나무와 관목의 잎을 뜯어먹는 방식으로 되돌아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