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데일리] 귀중한 익룡의 알이 200개 이상 한꺼번에 발견되어 익룡의 발생과정과 알품기 습성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던져주고 있다
CT스캔
고래의 초음파 청력은 놀랄 만큼 오래되었다
[사이언스 데일리] 현재 살고 있는 이빨고래는 물 속을 누비고 사냥을 할 때 자신들의 울음소리가 일으키는 반향에 의존하는데, 이 기술은 고주파음을 들을 수 있는 청력이 있어야만 제대로 작동한다. 고대 고래의 귀 중 가장 잘 보존된 화석을 연구한 학자들에 따르면 고주파음을 들을 수 있는 청력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일찍 생겨났다고 한다.
X-레이를 이용해 들여다본 딱정벌레 화석
[사이언스 데일리] 보통 사람들은 딱정벌레 화석을 보더라도 그저 돌멩이로라고만 생각할 것이다. 전문가들조차 수 밀리미터 정도 크기인 화석 외부의 모양을 대략적으로만 기술하는 데 그치기 쉽다. 카를스루에 공대의 ANKA 싱크로트론 방사원을 이용해 3천만 년 된 딱정벌레에 대하여 자세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딱정벌레 화석 내부의 해부학적 구조를 상세하게 영상으로 만들어 딱정벌레의 가계도 분석이 가능할 정도였다. 연구에 이용되지 않았던 자연사 컬렉션에 담겨진 방대한 지식에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최신 영상기법이 열어준 것이다.
파충류 화석을 통해 뱀이 어떻게 다리를 잃었는지가 밝혀지다
[사이언스 데일리] 새로운 파충류 화석의 분석을 통해 과학자들이 진화의 수수께끼 중 하나인 뱀이 어떻게 다리를 잃게 되었는가 하는 문제를 풀어내고 있다. 이전의 이론에서 말하던 것처럼 뱀이 바다에서 살기 위해 다리가 없어진 것은 아니라고 한다.
3차원 영상이 2억5천만 년 된 화석에 새로운 실마리를 던져주다
[사이언스 데일리] 새로운 연구에서 고해상도 영상기법을 이용해 1989년 이탈리아 북동부에서 처음 발견된 화석 뼈를 재해석했다.
신기술을 이용한 원시포유류 화석 분석을 통해 포유류 가계도가 분명해지다
[사이언스 데일리] 가장 오래된 원시포유류의 화석 중 하나인 턱뼈를 분석하자 포유류가 언제 최초로 진화했는지 그 시기를 정확히 측정하고 포유류 가계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노력에 실마리가 잡혔다. 이 연구에 따르면 포유류 다양성이 크게 증가한 것은 쥐라기에 해당하는 1억7천5백만 년 전이며 이는 트라이아스기에 포유류의 조상 격인 동물들이 다양해지고 나서 3천만 년 후의 일이라고 한다.
스카이 섬에서 발견된 화석으로 인해 세 개의 종이 하나로 합쳐졌다
[사이언스 데일리] 1억7천만 년 된 자그마한 화석이 영국 북서해안의 스카이 섬에서 발견되면서 연구자들은 이전에 세 개의 종이라고 생각되어왔던 것들이 실제로는 하나의 종이라고 결론내리게 되었다.
현생 유인원 생명의 나무의 뿌리 부분에 위치한 신종 유인원 화석
[사이언스 데일리] 연구자들이 스페인 북동부 카탈로니아의 칸 마타 매립지에서 발견된 골격에 기반하여 신속 신종인 플리오바테스 카탈로니아이를 보고했다. 이 화석은 나무에 올라 가지에 매달려 숲의 수관부를 누비던 몸무게 4-5 kg 정도의 다 자란 암컷의 것이다. 플리오바테스는 사람과와 긴팔원숭이과의 가장 최근 공통조상을 재구성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성체 암컷 개체인 이 화석에 발견자들은 ‘라이아’ 라는 이름을 붙였다.
X레이를 통해 3억 2천만 년 된 동물의 배 속을 들여다보다
[Phys.org] X레이 현미경을 이용해 아주 작은 화석의 내부 구조를 조사하여 최초로 소화계가 있다는 증거를 밝혀냈다. 브리스톨 대학, 애팔래치아 주립대학, 테네시 대학 녹스빌, 그리고 폴 셰러 연구소의 연구자들이 스위스에 위치한 스위스 라이트 소스 (Switt Light Source) 의 고에너지 X레이를 이용하여 독특한 화석 표본을 분석했다.
시베리아 털매머드의 멸종이 사냥에 의한 것이었다는 증거
[사이언스 데일리] 어린 시베리아 털매머드의 엄니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젖을 뗀 나이를 알아냈다. 코끼리와 닮은 이들 동물이 멸종한 주 원인은 기후변화가 아닌 사냥이었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