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데일리] 입 양쪽에 각각 300 개 이상의 이빨이 빽빽하게 들어차 있다면 치과를 얼마나 자주 가야 할지 한 번 생각해 보라.
Month: 2016 8월
새로운 기법을 이용해 지느러미가 어떻게 손가락이 되었는지를 더 잘 이해하게 되다
[사이언스 데일리] 물고기의 지느러미를 구성하는 세포가 네 다리를 가진 동물의 손가락과 발가락 형성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지느러미에서 손가락으로의 전환은 어류의 후손이 땅 위를 걷는 동물이 되기 위해 필요했던 큰 변화 중 하나다.
고래의 초음파 청력은 놀랄 만큼 오래되었다
[사이언스 데일리] 현재 살고 있는 이빨고래는 물 속을 누비고 사냥을 할 때 자신들의 울음소리가 일으키는 반향에 의존하는데, 이 기술은 고주파음을 들을 수 있는 청력이 있어야만 제대로 작동한다. 고대 고래의 귀 중 가장 잘 보존된 화석을 연구한 학자들에 따르면 고주파음을 들을 수 있는 청력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일찍 생겨났다고 한다.
멸종한 육식성 유대류가 새롭게 발견되다
[사이언스 데일리] 약 5억년 전, 건조해져가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숲을 공포에 떨게 했던 멸종한 육식성 유대류의 신종 화석이 퀸즐랜드 북서부의 외딴 곳에서 발견되었다. 초육식성이었던 이 동물은 오스트레일리아에 현재 사는 동물 중 가장 큰 육식성 유대류인 태즈메니아 데블의 먼 사촌 격으로 그보다도 훨씬 큰 몸집을 가지고 있었다. 홀리둘레야 톰파트리코룸 (Whollydooleya tomnpatrichorum) 이라고 명명된 이 동물은 ‘뉴리버슬레이’ 라고 이름붙여진 퀸즈랜드의 새 화석 발굴지에서 발견된 기묘한 여러 종류의 동물들 중 최초로 동정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빨이 마모된 흔적을 보고 고대 코끼리 친척의 식습관을 알아내다
[사이언스 데일리] 고대에 살았던 동물들이 무엇을 먹었는지는 대체 어떻게 알수 있을까? 지난 2백만 년 동안 중국에 살던 코끼리의 식단 변화가 이들 치아의 표면조직을 분석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최초로 재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