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설치류의 악몽

[사이언스 데일리] 연구자들이 초거대 생쥐와 대형 저빌을 보통 크기의 설치류로부터 구분하기 위해 전세계의 설치류 크기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끌 같은 이빨을 가진 털북숭이 동물이 섬에 살게될 경우 악몽에나 나올 것 같은 거대한 크기로 진화할 가능성이 17배나 높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결과는 소위 ‘섬 규칙’ 과 잘 맞아들어가는데, 이전의 연구들은 ‘섬 규칙’이 설치류에 들어맞지 않는다고 주장해왔다.

(2015년 6월 22일 사이언스 데일리 기사 번역)

정보출처: 듀크 대학

 

캐피바라. 연구자의 말에 따르면 몸무게가 45kg 로 남아메리카에 살며 세인트버나드견만큼 커다란 캐피바라는 만일 이 크기가 해당 종의 정상적인 크기라면 특이한 경우는 아니라고 한다. Credit: ⓒ maradt / Fotolia

캐피바라. 연구자의 말에 따르면 몸무게가 45kg 로 남아메리카에 살며 세인트버나드견만큼 커다란 캐피바라는 만일 이 크기가 해당 종의 정상적인 크기라면 특이한 경우는 아니라고 한다. Credit: ⓒ maradt / Fotolia

연구자들이 보통 크기의 설치류로부터 초거대 생쥐와 대형 저빌을 구분하기 위해 전세계의 설치류 크기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끌 같은 이빨을 가진 털북숭이 동물이 섬에 살게될 경우 악몽에나 나올 것 같은 거대한 크기로 진화할 가능성이 17배나 높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결과는 소위 ‘섬 규칙’ 과 잘 맞아들어가는데, 이전의 연구들은 ‘섬 규칙’이 설치류에 들어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논문은 영국 왕립학회보 B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에 온라인으로 공개되었다.

듀크 대학의 생물학자인 폴 더스트와 루이스 로스는 전세계에 걸쳐 60 종 이상의 설치류로부터 1000 개 이상의 개체군 자료를 모아 분석했다. 데이타셋에는 생쥐, 쥐, 청설모, 햄스터, 그리고 호저 등이 들어가 있으며 크기로 보면 몸무게 0.2 온스 인 멧밭쥐에서부터 50파운드나 나가는 북아메리카 비버까지 포함된다.

연구자의 말에 따르면 몸무게가 45kg 로 남아메리카에 살며 세인트버나드견만큼 커다란 캐피바라는 만일 이 크기가 해당 종의 정상적인 크기라면 특이한 경우는 아니라고 한다.  더스트와 로스를 괴롭힌 문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해당 계통 내에서 예외적으로 커지거나 예외적으로 작아지는 경우를 어떻게 찾아낼 것인가 하는 문제였다.

다른 말로 하면, 거대한 햄스터, 혹은 초소형 청설모를 지구상의 어느 지역에서 찾을 수 있을까? 하는 문제다.

답은 섬이었다. 182 개의 섬에 서식하는 설치류 개체군의 절반 이상이 그들 종의 상위 2.5% 혹은 하위 2.5% 몸무게를 차지하고 있었다.

쿠스 쌀쥐 (Coues’ rice rat)을 예로 들자면, 섬에 거주하는 어떤 개체군의 경우 본토에 있는 개체군에 비해 몸크기가 두 배 정도로 커졌다.

“흰발생쥐 역시 뱅쿠버 연안의 걸프 제도에서는 북아메리카 본토에 비해 몸이 두 배 커졌습니다.”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채플 힐의 박사후 연구원인 더스트의 말이다.

대부분의 설치류들이 언제 본토에서 섬으로 이주했는지, 혹은 특정 몸크기에 도달하기 위해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는 알지 못한다.

연구자들에 의하면 대개는 예외적으로 큰 경우가 예외적으로 작은 경우보다 더 많다고 한다.

데이타셋에 있는 몇몇 왜소증의 경우는 뜨겁고 건조한 섬들이라서 푸르른 서식지보다는 황무지에 가까운 곳에 사는 경우였다. 예를 들어 핀레이슨 청설모라고도 불리는 아시아 나무청설모는 태국의 코 란 섬에서 몸크기가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몸이 커지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찾을 수 없었던 거죠.” 더스트의 말이다.

섬에 사는 동물의 몸크기가 변하는 현상은 잘 알려져 있다. 1964년에 생물학자 J. 브리스톨 포스터는 섬에 사는 동물과 본토에 사는 동물의 몸크기를 조사한 후 큰 동물들은 대개 섬에서 작아지고, 작은 동물은 섬에서 커지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 후에 생물학자들은 이것은 ‘섬 규칙’ 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 이후 수십년 동안 수집된 코끼리나 사슴과 같은 동물들에 대한 자료는 섬 규칙과 맞아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근까지 설치류가 똑같은 크기 경향을 따르는지는 전혀 명확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미국 국립과학재단의 지원 (EF-0905606, 1311597) 으로 이루어졌다.

참고문헌

P. A. P. Durst, V. L. Roth. Mainland size variation informs predictive models of exceptional insular body size change in rodent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015; 282 (1810): 20150239 DOI: 10.1098/rspb.2015.0239



카테고리:번역, 사이언스 데일리, 생물학, 포유류, 현생

태그:,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