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대륙’ 에서 발견된 희귀한 뿔공룡 화석

[사이언스 데일리] 과학자들이 북아메리카 동부에서 개 정도 크기의 희귀한 뿔공룡 화석을 발견했다. 이 화석은 북아메리카에서 공룡의 진화가 동부와 서부로 나뉘어 일어났다는 증거다.

(2015년 11월 30일 사이언스 데일리 기사 번역)

정보출처: 바스 대학

북아메리카 동부 백악기 후기 지층에서 발견된 뿔공룡의 복원도. Credit: Dr Nick Longrich

북아메리카 동부 백악기 후기 지층에서 발견된 뿔공룡의 복원도. Credit: Dr Nick Longrich

바스 대학의 과학자가 북아메리카 동부에서 발견된 개 정도 크기의 희귀한 뿔공룡 화석을 동정했다. 이 화석은 북아메리카에서 공룡의 진화가 동부와 서부로 나뉘어 일어났다는 증거다.

1억 년에서 6천6백만 년 전의 기간인 백악기 후기에 현재의 북아메리카 땅덩어리는 멕시코만에서 북극해까지 이어지는 서부내해수로 (Western Interior Seaway) 라는 이름의 얕은 바다를 가운데 두고 두 개의 대륙으로 나뉘어 있었다. 라라미디아라고 불리는 서쪽 대륙에 살던 공룡들은 아시아에서 발견되는 공룡들과 유사했다.

하지만 동쪽의 ‘잃어버린 대륙’ 인 애팔래치아에 살던 동물들의 화석은 많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 지역에는 식생이 우거져 있어서 화석을 찾거나 발굴하는 일이 힘들었기 때문이다.

바스 대학의 생물 및 생화학과 내 밀너 진화센터의 닉 롱리치 박사는 이 희귀한 화석들 중 하나로 예일 대학 피바디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던 턱뼈 조각을 연구했다. 이 화석은 각룡류, 즉 뿔이 달린 공룡의 일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롱리치 박사의 연구는 학술지 ‘백악기 연구 (Cretaceous Research)’ 에 출판되었으며 해당 화석이 이 시기 북아메리카 동부에서 동정된 최초의 각룡류 공룡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각룡류는 백악기에 살던 초식성 공룡 그룹으로 얼굴에 나 있는 뿔이 특징이다. 문제의 화석은 잘 알려져 있는 트리케라톱스보다는 몸이 작은 사촌 격인 렙토케라톱스과 공룡의 것이다. 이 공룡의 몸크기는 큰 개 정도였을 것이다.

롱리치가 연구한 표본은 종까지 확인하기에는 너무 불완전한 표본이었지만 턱에서는 특이한 점이 발견되었다. 이빨이 아래쪽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휘어 있어 마치 부리 같은 모양을 가지고 있었다. 또 해당 표본의 턱은 북아메리카 서부에서 발견되는 각룡류의 턱보다 좌우로 더 좁은 형태로 서부의 각룡과는 다른 식습관을 가졌으며 서로 다른 진화적 경로를 따라 진화했던 것으로 보인다.

닉 롱리치 박사의 설명이다. “오늘날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되는 동물과 식물들이 세계의 다른 장소에서 발견되는 동물 및 식물들과 매우 다른 것처럼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 동부에 살던 동물들은 오랜 기간 고립되어있었기 때문에 오늘날 북아메리카 서부가 된 지역에 살던 동물들과는 완전히 다른 경로를 따라 진화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두 개의 땅덩어리가 바다로 나뉘어 있어 동물들이 오가지 못하게 함으로써 애팔래치아의 동물들이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진화하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아주 기묘하게 생긴 공룡들이 생겨났다는 이론에 근거를 더해준 것입니다.”

“해수면이 매우 높았고 지구 상의 땅덩어리들이 조각조각 나뉘어있던 이 시기의 화석을 연구하는 것은 공룡 진화에 있어 여러 차례의 있었던 독립적인 실험을 살펴보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 당시에는 여러 개의 땅덩어리가 — 북아메리카 동부, 유럽,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인디아,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 — 바다로 인해 고립되어 있었습니다.”

“이들 섬대륙은 각각 자신만의 독특한 공룡을 진화시켰습니다. 따라서 앞으로도 훨씬 많은 종들이 발견될 수 있을 겁니다.”

참고문헌

Nicholas R. Longrich. A 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Late Cretaceous of eastern North America, and implications for dinosaur biogeography. Cretaceous Research, 2016; 57: 199 DOI: 10.1016/j.cretres.2015.08.004



카테고리:번역, 고생물학, 공룡, 사이언스 데일리, 중생대

태그:, , , , ,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