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보존된 골격을 통해 초기 육식성 포유류의 생태와 진화를 밝혀내다

[사이언스 데일리] 현재의 육식성 포유류들이 부상하기 이전, 북아메리카는 이제는 멸종한 육식성 포유류, 히아이노돈류 (hyaenodontids) 가 지배하고 있었다. 히아이노돈류는 에오세 초기에 비교적 흔했으나 대부분 이빨 표본들이었다. 새로 발견된 거의 완전한 골격을 통해 이들 초기 육식성 포유류의 진화적 관계와 생태에 대한 더욱 자세한 연구가 가능해졌다.

(2015년 12월 9일 사이언스 데일리 기사 번역)

정보출처: 척추고생물학회

갈레키온의 발목뼈를 위에서 본 모습. 왼쪽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목말뼈, 발꿈치뼈, 입방뼈. Credit: Image by S. Zack

갈레키온의 발목뼈를 위에서 본 모습. 왼쪽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목말뼈, 발꿈치뼈, 입방뼈. Credit: Image by S. Zack

현재의 육식성 포유류들 (사자, 호랑이, 곰을 비롯해 족제비, 너구리, 늑대 및 기타 식육목 order Carnivora 에 속한 동물들) 이 부상하기 이전, 북아메리카는 이제는 멸종한 육식성 포유류, 히아이노돈류 (hyaenodontids) 가 지배하고 있었다. 히아이노돈류의 화석은 에오세 초기 (5천만 년에서 5천5백만 년 전) 지층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지만 대부분 이빨 표본들이었다. ‘척추고생물학회지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의 최신호에 실린 논문에서는 새로 발견된 거의 완전한 골격을 기재하고 있으며 이 골격을 통해 이들 초기 육식성 포유류의 진화적 관계와 생태에 대한 더욱 자세한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표본은 히아이노돈류 중 갈레키온 (Galecyon) 의 골격으로 이 시대의 화석이 많이 발굴되는 것으로 잘 알려진 와이오밍 주의 한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주저자인 아리조나 대학의 션 잭의 말이다. “갈레키온의 골격은 이미 많은 표본이 발견된 장소들이라고 하더라도 왜 계속해서 화석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골격이 발견된 것은 빅혼 분지에서 이미 수만 점의 포유류 화석이 수집된 후였지만 히아이노돈류의 제대로 된 골격은 이번에 최초로 발견된 것입니다.”

갈레키온은 오늘날의 코요테 정도 크기였으며 이번 발견으로 연구자인 잭과 공저자인 존스홉킨스 대학의 켄 로즈는 이 화석 분류군의 이동능력에 대해 추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갈레키온은 오늘날의 울버린이나 스컹크와 비슷한 방식으로 움직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잭의 말이다. “아마 그렇게 잘 달리지는 못했겠지만 대부분의 시간을 땅 위에서 보냈을 것이고, 근연종 중 일부는 나무 위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을 겁니다.”

화석 동물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알려주는 것 외에도 이 화석은 연구자들에게 히아이노돈류의 생태학적, 진화적 관계를 조사할 수 있게 해주었다. 골격 중에서 이빨이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요소이기 때문에 보통 이 작업은 이빨의 특징들을 가지고 이루어지지만 새 표본 덕분에 골격의 다른 부분들에서 특징들을 추가로 조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연구는 기재의 완전함이라든가 이미징, 그리고 분석 등에 있어 역작이라 할 수 있습니다. 분류학과 기능형태학, 그리고 계통발생학적 재구성을 하나로 묶어 확실한 결과와 향후 연구에서 검증할 수 있는 가설들을 만들어내는가에 대한 훌륭한 예입니다.” 듀크 대학의 고생물학자로 이번 연구에 참여하지는 않은 그레그 거넬의 말이다.

“이 연구는 두개골 외의 골격과 이빨의 형태가 히아이노돈류 내의 연관관계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패턴을 지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다시 말해 히아이노돈류의 진화에 대해 아직 알아내야 할 것이 많다는 이야기죠.” 잭의 말이다. 거기에 더해 “연구 결과 초기 히아이노돈류는 다양한 서식지 선호를 나타냈던 것으로 보이는데 여러 종류의 서로 다른 히아이노돈류들이 비슷한 식성과 견줄만한 몸크기를 가진 상태에서 같은 동물군 내에 공존할 수 있었는지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참고문헌

Shawn P. Zack, Kenneth D. Rose. The postcranial skeleton ofGalecyon: evidence for morphological and locomotor diversity in early Hyaenodontidae (Mammalia, Hyaenodontid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015; 35 (6): e1001492 DOI: 10.1080/02724634.2014.1001492



카테고리:번역, 고생물학, 사이언스 데일리, 신생대, 포유류

태그:, ,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