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꼬같다’ 는 말을 공룡에게도 써야할지도

[사이언스 데일리]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1억년 된 암석에서 공룡이 현생 조류와 비슷하게 짝짓기 행동을 했던 흔적이 화석으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오래전에 긁힌 자국이 화석화되었다가 최근에 발견된 이 표본은 현생 조류에서 “둥지 긁기 과시” 혹은 “긁기 의식” 으로 알려진 행동의 흔적과 유사하다. 이 행동은 수컷이 짝이 될 수 있는 상대 앞에서 둥지 형태의 구덩이를 팜으로써 자신의 부양능력을 과시하는 것이다. 새로 발견된 화석 증거는 공룡의 짝짓기에 이용된 과시행동의 천성, 그리고 ‘성선택’으로 알려진 진화의 추동력에 대한 이론들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이 공룡의 짝짓기 행동 흔적을 찾아냈다.

(2016년 1월 7일 사이언스 데일리 기사 번역)

정보출처: 콜로라도 대학 덴버

성적 과시 행동을 하고 있는 공룡들의 복원도. 리다 싱과 유장 한의 그림. Credit: University of Colorado Denver

성적 과시 행동을 하고 있는 공룡들의 복원도. 리다 싱과 유장 한의 그림. Credit: University of Colorado Denver

공룡들은 현생 조류와 유사한 짝짓기 행동을 했다. 그 흔적이 1억 년 전의 암석에 남아있다는 것이 최근 콜로라도 대학 덴버의 지질학 교수인 마틴 로클리의 새로운 연구에 의해 밝혀졌다.

고생물학자인 로클리가 이끈 국제 연구팀은 선사시대의 암석인 콜로라도 서부의 다코타 사암에서 커다란 ‘긁힌 자국’ 여럿을 발견했다. 고대의 이 긁힌 자국들은 현생 조류에서 ‘둥지 긁기 과시’ 혹은 ‘긁기 의식’ 으로 알려진 행동과 비슷한 형태로, 수컷들은 짝이 될법한 상대 앞에서 가짜 둥지를 파면서 자신의 부양능력을 과시하게 된다.

“이 화석은 공룡의 짝짓기에 존재했던 과시 행위의 흔적으로는 처음 발견된 것이며 구애 행위에 대한 최초의 물리적 증거입니다.” 로클리의 말이다. “커다랗게 긁혀있는 이 과시의 흔적들은 공룡의 행동과 관련해 우리가 잘 모르고 있던 부분을 채워주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1월 7일에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Scientific Reports)’ 에 출판될 예정이다.

공룡 발자국 전문가인 로클리는 50 개 이상의 긁힌 자국을 발견했으며 어떤 것은 욕조만큼 컸다. 이 지역에서는 육식성 공룡 및 초식성 공룡의 발자국 역시 확인되었다. 과시 행동이 일어나는 무대는 ‘레크’ 라고도 불리는데, 미국 국토관리부 (Bureau of Land Management) 에서 관리하는 콜로라도 주 델타 부근의 도밍게즈-에스칼란테 (Dominguez-Escalante) 와 거니슨 협곡 (Gunnison Gorge), 두 곳의 국립 보전구역 (National Conservation Area) 내의 토지에서 발견되었다.

로클리는 덴버에서 서쪽으로 인접한 국립 자연 랜드마크 (National Natural Landmark) 인 공룡 마루 (Dinosaur Ridge) 에서도 짝짓기가 있었던 장소라는 증거를 발견했다.

새로 발견된 화석 증거는 공룡의 짝짓기에 이용된 과시행동의 천성, 그리고 ‘성선택’으로 알려진 진화의 추동력에 대한 이론들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오래전 선사시대부터 수컷은 짝을 찾아 헤매고 더 약한 경쟁자들을 물리쳐왔으며 암컷은 가장 인상적인 과시행위를 펼친 수컷을 배우자로 선택해왔다.

이와 유사한 성선택 행동은 포유류 및 조류에서 흔히 발견된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공룡의 짝짓기 행동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살아남은 공룡의 친척인 조류의 짝짓기 행동과 유사할 것이라고 추측할 수밖에 없었다.

“긁힌 자국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증거입니다.” 로클리의 말이다. “오늘날 조류의 행동과 아주 비슷한 선사시대의 전희가 물리적인 증거로 남은 것입니다. 현생 조류는 둥지를 만드는 곳 가까이에서 긁기 의식으로 구애를 합니다. 따라서 이번에 발견된 긁힌 자국의 화석은 ‘몸이 달은’ 공룡들이 수천만 년 전에 이곳에 모여서 짝짓기를 하고 근처에 둥지를 틀었으리라는 흥미진진한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는 것입니다.”

로클리의 연구팀은 거대한 암석에서 긁힌 자국을 손상시키지 않고 떼어낼 수가 없엇다. 대신 이들은 사진측량법이라는 기법을 이용해 다수의 사진을 찍어 긁힌 자국의 3차원 영상을 만들어냈다. 이들은 또 고무 거푸집과 유리섬유를 이용해 긁힌 자국을 복제하여 덴버 자연 및 과학 박물관에 보관하였다.

역주: 연구에 참여한 학자들 중에 문화재청의 임종덕 박사를 비롯해 국내 연구진들의 이름이 보이네요. 국내 기사들을 찾아봤는데, 대부분 문화재청의 보도자료를 간략하게 옮겨실은 정도고, 그나마 좀 볼만한 것은 뉴스1 의 기사 입니다. 임종덕 박사의 인터뷰가 실려 있으니 한 번 살펴보세요.

참고문헌

Martin G. Lockley, Richard T. McCrea, Lisa G. Buckley, Jong Deock Lim, Neffra A. Matthews, Brent H. Breithaupt, Karen J. Houck, Gerard D. Gierliński, Dawid Surmik, Kyung Soo Kim, Lida Xing, Dal Yong Kong, Ken Cart, Jason Martin, Glade Hadden. Theropod courtship: large scale physical evidence of display arenas and avian-like scrape ceremony behaviour by Cretaceous dinosaurs. Scientific Reports, 2016; 6: 18952 DOI: 10.1038/srep18952



카테고리:번역, 고생물학, 공룡, 사이언스 데일리, 중생대

태그:, , ,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