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의 ‘호빗’ 들은 생각보다 더 일찍 멸종했을지도

[사이언스 데일리] 최초의 발견을 다시 조사한 과학자들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열대지역에서 발견된 작은 몸집의 인류는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일찍 쇠퇴했을지도 모른다고 한다. 이 그룹은 외딴 플로레스 섬 거주자들이 현생 인류와 수만 년 동안 공존해왔다는 기존 보고에 반대되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2016년 3월 30일 사이언스 데일리 기사 번역)

정보출처: 그리피스 대학

인도네시아 코모도 국립공원 내 한 섬의 해변 풍경. 연구진들 중 한 명에 의하면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는 우리 종이 플로레스 섬에 도착하자 곧 사라진 것으로 보이며, 이들을 멸종으로 이끈 것이 우리일 수도 있다고 한다. Credit: © jiduha / Fotolia

인도네시아 코모도 국립공원 내 한 섬의 해변 풍경. 연구진들 중 한 명에 의하면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는 우리 종이 플로레스 섬에 도착하자 곧 사라진 것으로 보이며, 이들을 멸종으로 이끈 것이 우리일 수도 있다고 한다. Credit: © jiduha / Fotolia

최초의 발견을 다시 조사한 여러 나라의 과학자들로 이루어진 연구팀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열대지역에서 발견된 작은 몸집의 인류는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일찍 쇠퇴했을지도 모른다고 한다.

학술지 ‘네이쳐 (Nature)’ 에 출판된 논문에서 이 그룹은 외딴 플로레스 섬 거주자들이 현생인류와 수만 년 동안 공존해왔다는 기존 보고에 반대되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연구팀은 ‘호빗’ 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Homo floresiensis) 의 가장 최근 연대가 최초 연구에서 주장했던 것처럼 1만3천 년에서 1만1천 년 전이 아니라 5만 년 전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인도네시아 과학자가 이끌고 그리피스 대학 인류진화연구센터의 연구자들이 포함된 연구팀은 동굴 유적지인 리앙 부아(Liang Bua)에서 이루어진 이전의 연대측정에서 문제점을 찾아냈다.

“실제로는 우리 종이 플로레스 섬에 도착한 직후 호모 플로레시엔시스가 사라진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을 멸종으로 이끈 것이 우리일 가능성이 있죠.” 인류진화연구센터의 지구연대학자이자 고고학자인 부교수 막심 오버트의 말이다. 오버트 교수는 인류진화연구센터 소장인 레이너 교수와 함께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화석의 연대를 측정하기 위해 화석 내부의 우라늄과 토륨 양을 측정했다.

“과학이 보여준 결과는 명백합니다.” 오버트 교수의 말이다.

“가장 최근의 호빗 골격 유해는 약 6만 년 전의 것이지만 이들이 사용했던 단순한 석기는 5만 년 전까지 계속 발견됩니다. 그 이후에는 이들 인류의 흔적이 더 이상 보이지 않습니다.”

리앙 부아의 석회암 동굴에서 발굴이 진행되던 2013년, 고고학자들은 오늘날의 어떤 사람들과도 다르게 몸집이 작은 인류의 뼈를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몸집이 작은 동굴 거주자들이 인류의 역사에서 오래된 가지 하나로부터 진화해왔으며 최소한 1백만 년 이전에 플로레스 섬으로 흘러들어 왔으리라고 결론내렸다.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이들 인구집단은 1만2천 년 전까지 이곳 플로레스 섬에서 살았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유적지는 크고 복잡했으며 최초의 발굴자들은 그 중 극히 일부만을 파헤쳤을 뿐이었다. 수 년에 걸친 추가 발굴이 이루어져 고고학적 지층들의 순서를 훨씬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는 최초의 연구팀이 호빗의 뼈가 들어 있는 주 지층의 연대를 측정하기 위해 표본을 채집할 때 실수로 조성은 비슷하지만 그보다 위에 위치한 훨씬 최근의 지층에서 채집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문제가 이제는 해결되었고, 새롭게 출판된 연대는 이 종이 얼마나 오래되었는지에 대한 더 신뢰할 수 있는 추정치를 제공해 줍니다.” 오버트의 말이다.

하지만 이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인류진화연구센터의 고고학자 애덤 브럼 박사는 호빗들이 더 최근까지 존재했다는 흔적이 플로레스 섬의 다른 동굴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브럼 박사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가 아마도 유럽의 네안데르탈인과 똑같은 운명을 겪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종 (호모 사피엔스) 이 그냥 이들과의 경쟁에서 이기면서 겨우 몇천 년 사이에 이들을 대체해버렸다는 것이다.

“호빗들은 플로레스 섬의 더 외딴 곳으로 숨어들어갔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작은 섬이기 때문에 오래도록 우리 종을 피할 수는 없었을 겁니다. 우리가 이 섬에 발을 들인 순간 그들의 시절은 예정된 끝을 맞이했다고 봐야죠.”

참고문헌

Thomas Sutikna, Matthew W. Tocheri, Michael J. Morwood, E. Wahyu Saptomo, Jatmiko, Rokus Due Awe, Sri Wasisto, Kira E. Westaway, Maxime Aubert, Bo Li, Jian-xin Zhao, Michael Storey, Brent V. Alloway, Mike W. Morley, Hanneke J. M. Meijer, Gerrit D. van den Bergh, Rainer Grün, Anthony Dosseto, Adam Brumm, William L. Jungers, Richard G. Roberts. Revised stratigraphy and chronology for Homo floresiensis at Liang Bua in Indonesia. Nature, 2016; DOI: 10.1038/nature17179



카테고리:번역, 사이언스 데일리, 신생대, 인류, 인류학

태그:, , , , ,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