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우닉 쿠테나이이: 고생물학자들이 바닷가재처럼 생긴 캄브리아기의 생물을 발견하다

[Sci-News.com] 여러 나라의 고생물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이 유명한 캐나다의 버제스 셰일 화석 발견지의 일부인 마블 캐년 사이트에서 바닷가재처럼 생긴 고대의 동물을 발견했다.

(2015년 3월 28일 Sci-News.com 기사 번역)

 

야우닉 쿠테나이이(Yawunik kootenayi). 이미지 제공: 토론토 대학

야우닉 쿠테나이이(Yawunik kootenayi). 이미지 제공: 토론토 대학

새로 발견된 해양생물은 야우닉 쿠테나이이 (Yawunik kootenayi) 라는 이름으로 캄브리아기 중기, 약 5억 800만년 전에 살았다.

종명인 쿠테나이이는 마블 캐년 사이트가 있는 쿠트니(Kootenay) 지역에 오랫동안 살아온 투나하(Ktunaxa) 부족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

속명인 야우닉은 신화에 나오는 크고 무서운 해양 생물로 다른 동물들을 죽이고 말썽을 일으켜 동물들이 힘을 합쳐 야우닉을 제압해야 했다는 전설이 있다.

“투나하 문화에 감사를 표하고 싶었던 데다가 야우닉에 대한 설명을 듣고 나니 야우닉이라는 이름을 선택하는 것이 아주 자연스러워 보였습니다.” 연구팀의 일원이자 토론토 대학의 박사 후보생인 세드릭 아리아의 말이다.

“야우닉은 투나하의 창조설화에서 중심적인 캐릭터이며 따라서 투나하의 구전되어 오는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팀이 우리 지역에서 이 역사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있으며 이번 발견을 통해 투나하 부족을 기리기 원한다는 것을 알자 뛸 듯이 기뻤습니다.” 연구에 직접 관여하지는 않은 투나하 민족 의회의 전통 지식 및 언어 책임자인 도널드 샘의 말이다.

“야우닉 쿠테나이이는 최초의 절지동물, 그러니까 거미와 바닷가재가 포함되는 이 동물 그룹이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고 어떻게 다른 동물들을 사냥했는지 실마리를 제공해 우리의 시야를 넓혀줍니다.” 아리아의 말이다.

“야우닉 쿠테나이는 외골격과 체절이 나누어진 몸, 그리고 마디가 있는 다리 등 절지동물을 구분할 수 있게 해주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까지 살아남아 있는 절지동물의 몇몇 발전된 특징들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것은 절지동물의 줄기생물군 (stem group) 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야우닉 쿠테나이이는 몸 앞쪽에 현생 딱정벌레나 새우의 더듬이를 닮은 긴 부속지를 진화시켰다. 이 부속지는 세 개의 긴 발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둘은 서로 마주보는 이빨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먹이감을 잡는 데 도움을 준다.

야우닉 쿠테나이는 이 앞쪽 부속지를 앞뒤로 움직일 수 있었고 다른 동물을 공격할 때 이 부속지를 양쪽으로 펼칠 수도, 헤엄을 칠 때는 몸 밑으로 집어넣을 수도 있었다.

감각기관이 달린 긴 채찍 모양의 편모가 발톱의 끝부분에서부터 뻗어나와 있는데 이것이 앞쪽의 부속지를 알려진 모든 절지동물의 부속지 중에 가장 다재다능하고 복잡한 것으로 만들어 준다.

야우닉 쿠테나이이. 이미지 제공: 진-버나드 카론 / 왕립 온타리오 박물관

야우닉 쿠테나이이. 이미지 제공: 진-버나드 카론 / 왕립 온타리오 박물관

“곤충이나 갑각류와는 달리 야우닉 쿠테나이이는 머리 부위에 음식을 처리하기 위해 변형된 부속지를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학술지인 팔레온톨로지(Palaeontology)에 발표된 논문의 제1 저자인 아리아의 말이다.

“진화는 이 동물의 가장 앞에 있는 부속지가 여러 종류의 적응을 하나로 모아놓도록 작용을 했습니다. 어쩌면 그런 수정이 더 쉬웠을 지도 모르겠네요.”

“어떤 갑각류의 유충은 자신들의 더듬이를 이용해 헤엄을 치기도 하고 음식을 모으기도 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더 큰 몸집을 지닌 활동성 포식자, 즉 갯가재 같은 경우는 감각 기능과 물건을 잡는 기능은 부속지들 사이에서도 분리되어 있는 기능입니다.”

야우닉 쿠테나이와 근연종들은 이러한 분업이 이루어지기 전에 절지동물의 조상이 어떤 형태의 부속지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알려준다.

“야우닉 쿠테나이이는 마블 캐년 사이트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새로운 대형 동물종이자 포식자였기 때문에 먹이그물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했을 것이고 과거의 생태계에 큰 영향을 끼쳤을 것입니다.” 토론토 대학의 진-버나드 카론 박사의 말이다.

“따라서 이 동물은 마블 캐년 연구에 매우 중요한 데다가, 그로 인해 동물 진화의 초기 모습을 이해하는데 버제스 셰일의 중요성이 얼마나 더 커졌는지를 보여줍니다.“

참고문헌

  • Cedric Aria et al. A large new leanchoiliid from the Burgess Shale and the influence of inapplicable states on stem arthropod phylogeny. Palaeontology, published online March 27, 2015; doi: 10.1111/pala.12161


카테고리:번역, 고생대, 고생물학, 기타, 절지동물

태그:,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