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 열곡대의 초기 인류가 매복 사냥을 했다는 가장 오래된 증거

[사이언스 데일리]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100만 년 전의 초기 인류는 케냐 열곡대의 지형지물을 이용해 매복했다가 사냥을 할 정도로 솜씨가 좋았다고 한다.

(2015년 9월 15일 사이언스 데일리 기사 번역)

정보출처: 본머스대학

레이놀즈 박사. Credit: Image courtesy of Bournemouth University

레이놀즈 박사. Credit: Image courtesy of Bournemouth University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출판된 새 연구에 의하면 100만 년 전, 초기 인류는 케냐 열곡대의 지형지물을 이용해 매복했다가 사냥을 할 정도로 솜씨가 좋았다고 한다.

이 지역은 커다란 동물들(예를 들면 겔라다개코원숭이, 코끼리, 하마, 그리고 점박이하이에나 등)이 풀을 뜯기 위해 모여드는 곳이었다. 이곳에 영양가가 높은 식물들과 오래된 민물호수가 있었고 사자와 같이 위험한 대형 포식자는 없었기 때문이다.

인류학자와 지구과학자들로 이루어진 다학제적 연구팀은 지형으로 인해 생긴 제약 때문에 동물들이 특정한 경로로만 움직여야 했다는 것을 보였다.

초기 인류는 이 경로를 알아채는 데 능숙했고, 이곳에 숨었다가 크고 위험한 동물들을 사냥했으며 그 증거는 해당 장소에 돌로 만든 도구들과 함께 도살의 흔적이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케냐 열곡대의 올로르게사일리에 지역에서는 이전에 다수의 아슐(Acheulean) 손도끼와 함께 대형 포유류가 도살당한 흔적이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이 지역에 사람아과 집단이 살면서 반복적으로 해당 장소에 돌아왔다는 것을 나타낸다.

지금 이 지역의 모습은 100만 년 전과 비교하면 기후변화, 지진, 그리고 화산활동 등을 겪으면서 많이 달라졌다.

하지만 연구팀은 단층의 움직임을 계산하고 침식과 퇴적물이 쌓인 것을 보정하여 고대 지형의 모형을 만들고 인류의 조상들이 이 지형을 어떻게 활용했을지 보여줄 수 있었다.

영국에서 연구를 주도한 샐리 레이놀즈 박사(본머스 대학)가 연구팀이 어떻게 모델링 기법을 활용해 이번 발견을 하게 되었는지 설명했다. “이 지역의 지형을 재구성하고 토양에 남아있는 영양소의 흔적을 조사한 후 이 지역의 마사이 족장들에게 현재의 동물들이 풀을 어떻게 뜯는지를 문의함으로써 100만 년 전에 동물들이 어떻게 이동했는지를 그려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100만 년 전 이 지역의 지형이 왜 매복사냥 기법과 잘 맞아들어갔는지에 대해서 레이놀즈 박사는 이렇게 말한다. “올로르게사일리에 지역은 특히 큰 동물을 기다리며 매복하기에 좋은 장소였습니다. 동물들이 이 지역을 이동할 때 택할 수 있는 경로가 제한적이었기 때문입니다.”

“또, 높은 지대에서는 사방을 잘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안정적으로 마실 물을 구할 수 있는 곳도 있었고 사냥도구를 만드는 데 쓰일 돌도 충분했기 때문에 사람아과 집단이 정착하기에 이상적인 장소였죠.”

이번 연구는 지형에 기반한 새롭고 흥미로운 연구의 얼개를 제공하여 이곳과 다른 지역의 사람아과 유적지를 평가하고 인류 조상의 기록을 해석하는 방법을 바꿔놓을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연구에는 본머스 대학, 루드비히 막시밀리안 대학, 케냐 국립농업연구소와 케냐국립박물관, 파리지구물리연구소의 연구자들이 참여했으며 유럽연구위원회의 지원을 통해 요크대학과 협력하여 진행되었다.

참고문헌

Simon Kübler, Peter Owenga, Sally C. Reynolds, Stephen M. Rucina, Geoffrey C. P. King. Animal movements in the Kenya Rift and evidence for the earliest ambush hunting by hominins. Scientific Reports, 2015; 5: 14011 DOI: 10.1038/srep14011



카테고리:번역, 사이언스 데일리, 신생대, 인류, 인류학

태그:, , , ,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