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org] 근육질의 화석 불갯지렁이가 브리스톨 대학과 런던 자연사박물관의 과학자들에 의해 발견되어 펑크 뮤지션이자 스포큰 워드 아티스트인 헨리 롤린스의 이름을 따라 롤린스카이타 미오플레나 (Rollinschaeta myoplena) 로 명명되었다.
(2015년 11월 19일 Phys.org 기사 번역)
정보출처: 브리스톨 대학

레바논의 백악기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 불갯지렁이 롤린스카이타 미오플레나 (Rollinschaeta myoplena) 는 근육조직이 보존되어 있어 자외선을 쬐면 흰색으로 형광을 낸다.
근육질의 화석 불갯지렁이가 브리스톨 대학과 런던 자연사박물관의 과학자들에 의해 발견되어 펑크 뮤지션이자 스포큰 워드 아티스트인 헨리 롤린스의 이름을 따라 롤린스카이타 미오플레나 (Rollinschaeta myoplena) 로 명명되었다.
이 화석 벌레는 다모류에 속하는 환형동물로 바다에 사는 지렁이와 거머리의 친척이다. 다모류의 몸은 연조직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화석으로 남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조건이 맞아떨어질 경우 이런 동물들은 놀랍도록 자세한 세부사항까지 화석화되며 롤린스카이타의 경우 근육조직까지 3차원적으로 보존되었다.
이번 발견을 한 연구자 중 한 명인 브리스톨 대학의 박사과정 학생 루크 페리의 말이다. “화석 근육조직은 아주 드물고 보통 고생물학자들에 의해 자세히 기재되지는 않습니다만 이번 발견에서는 화석에 보존된 연조직이 살아있는 유기체에서 볼 수 있는 것과 맞먹을 정도의 세부사항까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근육질로 이루어진 이 동물에 이름을 붙이면서 LA 펑크 밴드 블랙플래그의 전설적인 근육질 프론트맨 헨리 롤린스를 기념하기로 했습니다.”
이 동물의 근육이 죽은지 얼마 되지 않아 인회석으로 치환되었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롤린스카이타에서 여러 그룹의 근육을 확인할 수 있었다. CT 스캐닝을 이용하여 과학자들은 현생 환형동물 근육이 3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형태를 조사하고 이것을 롤린스카이타와 비교했다.
놀랍게도 근육의 형태에 기초하여 롤린스카이타가 불갯지렁이 (암피노미드과) 의 한 종류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현생 불갯지렁이는 산호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포식자로 이들의 체절에는 쏘는 강모가 많이 나있어서 불갯지렁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논문의 공저자인 브리스톨 대학 지구과학부 야코브 빈테르 박사의 말이다. “연구를 수행하면서 거의 전부가 근육으로만 이루어져 보존된 이 생물을 비공식적으로 ‘근육벌레’ 라고 불렀습니다. 화석이 이렇게 잘 보존된 이유 중 하나 살아있을 때 이 작은 벌레가 대단한 몸짱이었기 때문입니다. 불갯지렁이는 산호초 및 기타 강한 해류가 흐르는 환경에서 낮 동안 활발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다른 갯지렁이들과 비교했을 때 훨씬 더 근육질이 되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또 조직 보존에 있어서 큰 편향이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롤린스카이타 화석이 발견된 레바논 지역에서는 다른 갯지렁이들 종도 많이 발견되지만 이들 대부분은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근육조직이 보존되어 있지 않습니다.” 최근 브리스톨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현재는 워릭 대학의 박사과정 학생인 공저자 폴 윌슨의 말이다. “따라서 같은 조건 하에서도 근육조직이 보존되는 데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예외적으로 좋은 보존 조건 아래라고 해도 모든 유기체가 보존에 적합한 조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공저자인 런던 자연사박물관의 그레그 에지콤의 말이다. “근육 구조로 화석의 동정이 이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일반적으로 화석기록에서 발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는 것과는 다르게 아주 예외적으로 잘 보존된 조성과 근육구조 덕분에 아마도 호기심에서 이루어진 일이라고 해야겠죠. 하지만 근육이 보존된 경우에는 멸종한 동물로부터도 많은 양의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이번 주 학술지 ‘BMC 진화생물학 (BMC Evolutionary Biology)’ 에 출판되었다.
참고문헌
‘A new fireworm (Amphinomidae) from the Cretaceous of Lebanon identified from three-dimensionally preserved myoanatomy’ by Parry, L.A., Wilson, P., Sykes, D., Edgecombe, G.D. and Vinther, J. in BMC Evolutionary Biology http://www.biomedcentral.com/1471-2148/15/256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