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데일리] 캐나다 프린스에드워드섬에서 발견된 ‘공룡’ 화석이 스테이크나이프같은 이빨을 가지고 있었으며 연구자들은 이화석의 이름을 디메트로돈 보레알리스 (Dimetrodon borealis) 로 변경했다. 캐나다에서 디메트로돈 화석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2015년 11월 24일 사이언스 데일리 기사 번역)
정보출처: 토론토 대학

디메트로돈과 프린스에드워드섬에서 발견된 “바티그나투스” 화석. 배경에는 왈키아 나무가 (프린스에드워드섬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화석) 보인다. Credit: Illustration by Danielle Dufault
프린스에드워드섬에서 발견된 “공룡” 화석이 스테이크나이프 같은 이빨을 가지고 있어서 토론토 대학 미시사우가, 칼튼 대학, 그리고 왕립 온타리오 박물관의 연구자들이 이 화석의 이름을 디메트로돈 보레알리스 (Dimetrodon borealis) 로 변경했다. 이 화석은 캐나다에서 발견된 최초의 디메트로돈이 되었다.
“이빨의 상세한 해부학적 구조를 발견하여 이 중요한 캐나다 화석의 정체를 정확히 밝힐 수 있었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입니다.” 토론토 대학 미시사우가에 있을 때 연구를 진행한 주저자인 커스틴 브링크의 말이다. “디메트로돈은 사실 공룡보다는 포유류와 더 가까운 관계입니다.” 사실 디메트로돈은 공룡이 나타나기 4천만 년 전에 멸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11월 23일 ‘캐나다 지구과학저널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에 실렸다.
이 화석은 1845 년 한 농부가 프린스에드워드섬 프렌치 강 부근에 위치한 자신의 소유지에서 땅을 파다가 발견한 것으로 이전에는 바티그나투스 보레알리스 (Bathygnathus borealis) 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다. 발견되었을 당시 캐나다에는 자연사박물관이 없었기 때문에 화석은 필라델피아의 자연과학원에 팔렸고, 이곳에서 조셉 라이디 — 저명한 고생물학자 — 가 이 화석을 연구하고 이름을 붙여 주었다.
라이디는 이 화석이 당시 유럽에서 발견되던 대형 이족보행 공룡과 비슷한 공룡의 아래턱이라고 생각하고 바티그나투스 (Bathygnathus, ‘깊은 턱’ 이라는 뜻) 보레알리스 (borealis, ‘북쪽의’ 라는 뜻) 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바티그나투스 표본은 캐나다에서 발견된 최초의 “공룡” 이자 두번째 척추동물 화석이었다 (첫번째는 그보다 두 달 일찍 노바 스코시아에서 발견되어 리차드 오웬 경이 명명한 멸종한 양서류인 덴드레르페톤이다) 처음 명명된 후 여러 고생물학자들이 바티그나투스 표본을 연구했으나 정확한 정체는 알려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이것이 디메트로돈의 상징과도 같은 등 부위의 돛 모양 구조물 — 척추뼈에서 뻗어나온 돌기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조직으로 만들어진 — 을 가지고 있는지, 아니면 디메트로돈과 가까운 관계지만 몸집이 더 작은 스페나코돈 (Sphenacodon) 처럼 돛이 없는 모습인지도 분명하지 않았다.
화석의 내부 구조를 들여다보기 위해 가계도와 영상기법을 이용한 연구자들은 여덟 개의 이빨이 보존되어 있는 것을 발견했고, 이빨들로 인해 이 화석이 디메트로돈류라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다. 디메트로돈은 지포돈트 형태의 이빨 (칼날 모양의 이빨) 을 가지고 있었던 최초의 육상동물이다.
“이 이빨은 앞쪽과 뒤쪽에 톱니처럼 깔쭉깔쭉한 모양을가지고 있는 스테이크나이프와 비슷한 형태입니다.” 연구의 선임저자인 로버트 라이스 교수의 말이다. “이런 이빨들은 뿌리 부분이 무척 길어서 치관부의 두 배 정도 됩니다. 이런 형태의 이빨은 먹이감의 살을 몰어서 베어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디메트로돈 화석은 미국, 캐나다, 그리고 독일에서 발견되고 있다.
참고문헌
Kirstin S. Brink, Hillary C. Maddin, David C. Evans, Robert R. Reisz, Hans-Dieter Sues. Re-evaluation of the historic Canadian fossilBathygnathus borealisfrom the Early Permian of Prince Edward Island.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2015; 1 DOI: 10.1139/cjes-2015-0100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