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데일리] 만일 플라이스토세 거대동물군 — 마스토돈, 매머드, 거대 땅늘보 등등 — 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인류는 크리스마스에 펌킨 파이나 호박을 먹지 않았을지도 모른다고 인류학자들로 구성된 국제연구팀이 밝혔다.
(2015년 11월 23일 사이언스 데일리 기사 번역)
정보출처: 펜실베니아 주립대학
만일 플라이스토세 거대동물군 — 마스토돈, 매머드, 거대 땅늘보 등등 — 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인류는 크리스마스에 펌킨 파이나 호박을 먹지 않았을지도 모른다고 인류학자들로 구성된 국제연구팀이 밝혔다.
“야생종 호박이 작물화 초기에는 음식으로 이용되지 않았다는 가설은 이전에도 제안된 적이 있고, 제 생각에는 꽤나 합리적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영국 워릭 대학의 자연환경연구위원회(NERC) 독립연구장학생이자 최근까지 펜실베니아 주립대학의 박사후연구원이었던 로건 키슬러의 말이다. “그보다 야생 호박 종류는 호리병박이라든가 저장용기, 도구, 그물용 부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쓰였을 겁니다. 어느 시점에선가 공생관계가 생겨나 맛있는 음식으로 진화하게 되었겠지만 이 과정의 자세한 내용은 현재까지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연구자들은 인류가 원래는 야생 호박류 — 쿠쿠르비타 (Cucurbita) 과의 식물들 — 를 먹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야생 호박류의 열매는 맛이 쓸 뿐만 아니라 사람 및 작은 동물들에게 독성을 가지고 있기까지 하다. 하지만 1만2천 년 전에 살았던 엄청나게 큰 동물들은 — 거대동물군 — 야생 호박류를 먹었다는 분명한 증거가 존재한다.
“리 뉴섬 (펜실베니아 주립대학의 인류학 부교수이자 연구의 공저자) 이 고대 마스토돈의 똥에서 야생 호박류의 씨를 여러 종류 발견했습니다. 야생 호박류 식물의 자연사에 있어서 이들 거대 초식동물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으리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키슬러의 말이다.
연구자들은 오늘날 작물로 이용되는 여러 호박류 식물들, 현재의 야생 호박류, 그리고 고고학 표본들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야생 호박류의 분포가 바뀐 것이 대형 동물이 사라진 것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
“현생 야생 호박류, 작물로 이용되는 호박류, 그리고 여러 곳에서 발견된 고고학 표본의 호박류의 DNA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고고학 및 생물학 조교수인 조지 페리의 말이다. “연구결과 사람이 작물화시킨 어떤 계통은 현재 야생에서는 멸종했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코끼리만한 동물이 씨앗을 퍼트려 주지 않는다면 야생 호박은 열매가 떨어지는 곳, 즉 기껏해야 호박이 굴러가다가 멈춘 곳 정도에서나 자라나게 된다. 그와 동시에 거대동물군이 사라지자 열린 들판과 나무가 있는 숲이 뒤섞여 있던 환경에서 더 단조로운 형태의 식생이 지배하는 환경으로 바뀌었다. 호박류는 거대동물군이 만들어내는 뒤섞인 자연환경에서 잘 자라는 잡초와 비슷한 식물이었기 때문에 홀로세의 새로운 환경에는 크게 번성하지 못하게 되었다.
연구자들은 또 동물의 쓴 맛 수용체를 살펴보고, 더 다양한 섭식 패턴을 보이는 작은동물들이 몇 가지 음식만을 먹는 대형 동물들보다 더 많은 쓴 맛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40 종류의 현생 포유류에서 쓴 맛 수용체 유전자를 비교해 보았고, 몸크기와 먹이의 다양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페리의 말이다. “몸집이 클 수론 쓴 맛 수용체는 적었습니다. 식단의 다양성이 클 수록 쓴 맛 수용체가 많았구요.”
인류가 야생 호박류를 처음에는 음식이 아닌 용도로만 사용했다 하더라도 결국 시간이 지나면서 호박류에 변이가 일어나 독성을 잃게 되었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되었다. 키슬러에 따르면 호박류는 최소한 여섯 군데의 다른 지역에서 여섯 번 이상 작물화 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작물화된 종 내에서는 물론 종들 사이에서도 엄청난 양의 다양성이 존재합니다.” 키슬러의 말이다. “쿠쿠르비타 페포 (Cucurbita pepo) 가 아마 가장 다양할 겁니다. 잭-오-랜턴 펌킨, 도토리호박, 서양호박 등이 모두 쿠쿠르비타 페포에 속합니다. 쿠쿠르비타 모스카타 (Cucurbita moschata) 에는 버터넛 스쿼시, 그리고 몇 주 후면 많은 사람들이 파이를 구울 때 파이 속에 넣을 캔에 든 호박종류가 포함됩니다.”
참고문헌
L. Kistler, L. A. Newsom, T. M. Ryan, A. C. Clarke, B. D. Smith, G. H. Perry. Gourds and squashes (Cucurbita spp.) adapted to megafaunal extinction and ecological anachronism through domestic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5; DOI: 10.1073/pnas.1516109112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