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로 발견된 깃털 화석은 시조새의 것이 아니었다

[사이언스 데일리] 150년 전에 발견된 깃털 화석의 수수께끼가 풀렸다. 연구자들이 새로운 영상기술인 레이저 유도 형광 기법을 이용하자 최초로 발견된 깃털 화석의 깃대의 모습이 드러났고, 시조새는 (최초로 발견된 깃털 화석의 주인이라는) 권좌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2019년 2월 4일 사이언스 데일리 기사 번역)

정보출처: 홍콩대학

시조새의 깃털은 최초로 발견된 깃털화석이었다. 가장 위의 이미지는 백색광 밑에서 본 깃털의 모습. 가운데 이미지는 1862년 헤르만 폰 마이어가 그린 그림. 아래의 이미지는 레이저 유도 형광 기법으로 없어진 깃대의 둘레를 볼 수 있게 한 것이다. 스케일바의 길이는 1cm. Credit: Copyright The University of Hong Kong

홍콩 대학 지구과학과의 마이클 피트먼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에 의해 150년 전에 발견된 깃털 화석의 수수께끼가 풀렸다. 피트먼 박사와 동료들이 새로운 영상기술인 레이저 유도 형광 기법을 이용하자 최초로 발견된 깃털 화석의 깃대가 드러났고, 시조새는 권좌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해당 깃털 화석은 1862년 독일 남부 졸른호펜 지역에서 발견된 것이다. 따로 떨어진 깃털은 화석 새로 유명한 시조새의 이름을 정하는 데 사용되었고 해당 시조새의 깃털인 것으로 여겨졌다. 시조새 화석에서 눌린 자국으로 보존되었던 깃털과 달리 따로 발견된 이 깃털은 어두운 색깔의 얇은 막 형태로 보존되었다. 1862년에 작성된 이 깃털에 대한 자세한 기술에서는 화석에서 긴 깃대가 보인다고 적고 있지만 오늘날에는 보이지 않는다. 최근의 엑스레이 형광 기법과 자외선 영상을 통한 연구도 “사라진 깃대” 논쟁을 끝내지는 못했다. 따라서 깃대가 원래 존재했는지가 논쟁거리가 되었고 이 깃털이 1차깃, 2차깃, 혹은 1차덮깃인지가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게재되었으며 레이저 유도 형광 기법의 가능성과 과학적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레이저 유도 형광 기법은 미국의 과학진흥재단의 토머스 G 케이와 피트먼 박사에 의해 개발되었다. “톰 케이와 함께 진행한 영상작업을 통해 가장 유명하고 잘 연구된 화석들이라 할지라도 거기에서 중요한 발견을 할 것이 남아있음을 보였습니다.” 피트먼 박사의 말이다.

LSF 기법의 도움으로 연구팀은 150년 된 사라진 깃대의 수수께끼를 풀었다. 이제 깃털이 온전히 보이게 되었기 때문에 이 깃털과 시조새 및 현생 조류의 깃털 자국을 자세히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LSF 기법을 이용하기 전에 이 깃털은 시조새의 1차덮깃이라고 여겨졌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이 깃털이 특유의 S-자 모양의 중심선이 없기 때문에 현생 조류의 덮깃과는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또 이 깃털이 시조새의 1차깃, 2차깃, 혹은 꼬리깃털일 가능성도 배제했다. 새로운 자료를 통해 이 깃털이 알려지지 않은 깃털공룡의 것이며 시조새의 것이라는 견해는 틀렸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새로운 기법으로 인해 사라진 깃대라는 150년 된 수수께끼를 풀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입니다.” 베를린 자연과학 박물관의 화석 파충류 및 조류 컬렉션 큐레이터이자 이번 연구의 공저자인 다니엘라 슈워츠의 말이다. 이번 발견은 또 고대의 졸른호펜 열도 일대에 살던 깃털공룡의 다양성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높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LSF 기법을 적용한 이번 연구의 성공을 통해 LSF 가 다른 분야에서도 더 많은 발견과 활용을 이끌어낼 것입니다. 다음번에는 어떤 것을 찾아낼 지 한 번 지켜보세요!” 이번 연구의 주저자인 톰 케이의 말이다.

참고문헌

Thomas G. Kaye, Michael Pittman, Gerald Mayr, Daniela Schwarz, Xing Xu. Detection of lost calamus challenges identity of isolated Archaeopteryx feather. Scientific Reports, 2019; 9 (1) DOI: 10.1038/s41598-018-37343-7



카테고리:번역, 고생물학, 공룡, 사이언스 데일리, 중생대

태그:, , , ,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