팟캐스트 ‘과학기술정책 읽어주는 남자들’ 에 출연한 고생물학자, 그리고 ‘조룡류’ 라는 용어

팟캐스트 ‘과학기술정책 읽어주는 남자들’ 에 ‘박진영의 공룡열전’ 저자인 젊은 고생물학자 박진영 님이 출연하셨습니다.

http://www.podbbang.com/ch/7549?e=21830622

팟캐스트 ‘과학기술정책 읽어주는 남자들’ 에 ‘박진영의 공룡열전’ 저자인 젊은 고생물학자 박진영 님이 출연하셨습니다. 일전에 티라노사우루스 마니아인 고 3 수험생 윤찬규 님도 출연하신 적이 있죠. 박진영 님은 ‘과학하고 앉아있네’ 에 한 번 출연하셔야 하는 것 아닌가 싶네요. (책 판매에는 그쪽이 훨씬 도움이… 아 아닙니다. 저 과정남 애청자에요 🙂 간만에 팟캐스트에서 고생물학 이야기 들으니 재미있네요.

중간에 ‘조룡류’ 라는 용어가 나와서 제 생각을 좀 적자면…

‘조룡류’ 는 파충류의 분지군 중 하나인 Archosauria, 영어로는 ruling reptile 이라는 단어의 번역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자로는 祖龍類 라고 쓰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가만히 살펴보면 용 (龍 파충류, 도마뱀) 의 조상 (祖) 이라는 의미를 가진 한자어 ‘祖龍類’ 와 지배하는 (archo – ruling) 파충류 (sauria – reptile) 라는 분지군 이름 Archosauria 는 의미가 서로 다릅니다. 위키피디아에서 Archosauria 항목의 일본어 페이지와 중국어 페이지를 보면 조룡(祖龍) 이 아니라 ‘주인 주’ 자를 써서 주룡(主龍) 이라고 표기하고 있습니다. 즉, 한국에서 쓰이는 ‘조룡류’ 라는 용어는 의미가 잘 들어맞지 않고,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쓰이지 않는, 잘못된 용어가 아닌가 하는 의심을 가져볼 수 있습니다. Archosauria 라는 분지군 이름에 대한 다른 번역어도 존재하죠. 한국어 위키피디아를 보면 ‘조룡류’ 대신 ‘지배파충류’ 라는 용어를 쓰고 있습니다.

‘조룡류’ 라는 용어가 어디에서 유래한 것인지 예전에 좀 생각을 해봤는데, 아마 archosauria 의 archo 를 기원, 원천이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ἀρχή (arche) 로 착각하고 조상 조 (祖) 자를 써서 만들어진 번역어가 아닐까 짐작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archosauria 의 archo 는 지배자, 지도자 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ἀρχός (archos) 에서 온 것입니다. 집정관(archon)도 여기에서.. 읍읍

그래서 저는 어딘지 안 맞는 것 같은 ‘조룡류’ 보다는 ‘지배파충류’ 라는 용어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의미도 정확하고 유래도 명확하죠. 조룡류라는 번역어의 기원에 대한 제 추측이 틀렸을 가능성도 물론 있습니다. 그러니 혹시 조룡류라는 번역어의 기원에 대해서 정확하게 아시는 분은 부디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읽고 있는 책에 ‘조룡류’ 라는 표현이 나온다면 어떤 책인지를 알려주셔도 좋겠네요. 언제부터 쓰인 것인지 알게 되면 용어 기원 탐색의 범위를 좁혀갈 수 있겠죠.



카테고리:고생물학, 공룡, 소개, 의견, 중생대

태그:, ,

1 reply

Trackbacks

  1. 아주 옛날에는 사람이 안 살았다는데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