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아메리카에서 보기 드문 쥐라기의 산호가 발견되다

[사이언스 데일리] 대량멸종 사건은 해양환경의 진화를 특정 시점에서 단절시키게 되며, 그로부터 생물상이 회복하는 과정에서 주요한 생물상의 변화를 이끌어낸다. 멸종 이후의 회복 단계에서 해양 유기체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이해하는 일은 변화의 동역학에 대한 통찰을 얻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런 변화는 많은 경우 생물상의 전반적인 재정립으로 이어진다.

(2015년 9월 29일 사이언스 데일리 기사 번역)

정보출처: 미국지질학회

호지스와 스탠리의 논문 그림 6. 회색은 판게아의 지도, 파란색은 트라이아스기 후기의 산호초, 붉은색은 쥐라기 초기의 산호초. 별은 퍼거슨힐 층원 산호. 자료는 팔레오리프 데이터베이스. 지도는 Lathuilière and Marchal, 2009. CREDIT: Hodges and Stanley, 2015, GSA Today, and Lathuilière and Marchal, 2009.

호지스와 스탠리의 논문 그림 6. 회색은 판게아의 지도, 파란색은 트라이아스기 후기의 산호초, 붉은색은 쥐라기 초기의 산호초. 별은 퍼거슨힐 층원 산호. 자료는 팔레오리프 데이터베이스. 지도는 Lathuilière and Marchal, 2009. CREDIT: Hodges and Stanley, 2015, GSA Today, and Lathuilière and Marchal, 2009.

대량멸종 사건은 해양 환경의 진화를 특정 시점에서 단절시키게 되며, 그로부터 회복하는 과정에서 생물상의 주요한 변화를 이끌어낸다. 멸종 이후의 회복 단계에서 해양 유기체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이해하는 일은 변화의 동역학에 대한 통찰을 얻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런 변화는 많은 경우 생물상의 전반적인 재정립으로 이어진다.

GSA Today 의 10월호에서 몬태나 대학 고생물학 센터의 몬태나 호지스와 조지 스탠리 2세는 쥐라기 대량멸종 경계에서 일어난 트라이아스기 말 대량멸종 사건 이후 산호의 회복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저자들은 미국 네바다 주 중서부의 뉴욕 캐년 부근 갭스층과 선라이즈층에 위치한 연속적인 퇴적 단면에서 쥐라기 산호에 대한 조사를 수행했다.

북아메리카에서 쥐라기 전기의 산호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새롭게 발견된 이번 산호는 대량멸종 후의 회복기에 생물상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이해하는 데에 아주 중요하다. 논문에서 호지스와 스탠리는 미국 쥐라기의 아주 이른 시기이지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산호에 대한 예비 보고를 하고 있다. 이 산호들은 네바다 중서부 뉴욕캐년의 선라이즈층에서 발견된다.

발굴지는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잘 조사된 트라이아스기-쥐라기의 지층 단면 중 하나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 단면에서 산호는 트라이아스기-쥐라기 경계 가까이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산호의 생물상 회복 다이내믹스를 이해하고 이것을 테티스해에서 있었던 사건과 비교하는 데 있어서 네바다의 발굴지를 이상적인 장소로 만들어 주고 있다.

저자들에 따르면 뉴욕캐년의 산호는 판탈라사해 동부의 생물상 회복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준다고 한다. “고지리학적으로 뉴욕캐년의 산호는 테티스해와 강력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테티스해의 산호와는 달리 단독생활을 하는 스틸로필리드 산호만이 발견된다. 북아메리카의 에탕주절 시기에는 산호가 발견된 적이 없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뉴욕캐년 발굴지가 가장 오래된 북아메리카 쥐라기 산호 발굴지로 보인다.”

호지스와 스탠리에 따르면 이들 산호에 대한 분석결과가 북아메리카에서 트라이아스기-쥐라기 멸종 이후의 회복 단계에서 중요하지만 무시되어 왔던 부분을 채워주면서 히스패닉 코리도어가 더 일찍 열렸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게 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Montana S. Hodges, George D. Stanley. North American coral recovery after the end-Triassic mass extinction, New York Canyon, Nevada, USA. GSA Today, 2015; 15 (10): 4 DOI: 10.1130/GSATG249A.1



카테고리:번역, 고생물학, 기타무척추동물, 사이언스 데일리, 중생대

태그:, , ,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