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에서 발견된 작은 새 화석

[사이언스 데일리] 정교하게 배열되어 새의 날개 깃털을 제어했던 근육과 인대를 자세히 연구할 수 있을 만큼 잘 보존된 새의 화석이 새롭게 발견되어 가장 오래된 새들 중 최소한 일부는 대부분의 현생 새들과 비슷하게 공기역학적으로 뛰어난 비행솜씨를 선보였으리라는 생각을 뒷받침해주게 되었다.

보존상태가 좋은 1억 2,500만 년 전의 새 화석이 발견되었다

(2015년 10월 6일 사이언스 데일리 기사 번역)

정보출처: 로스엔젤레스카운티 자연사박물관

정교하게 배열되어 새의 날개 깃털을 제어했던 근육과 인대를 자세히 연구할 수 있을 만큼 잘 보존된 새의 화석이 새롭게 발견되어 가장 오래된 새들 중 최소한 일부는 대부분의 현생 새들과 비슷하게 공기역학적으로 뛰어난 비행솜씨를 선보였으리라는 생각을 뒷받침해주게 되었다. Credit: Stephanie Abramowicz

정교하게 배열되어 새의 날개 깃털을 제어했던 근육과 인대를 자세히 연구할 수 있을 만큼 잘 보존된 새의 화석이 새롭게 발견되어 가장 오래된 새들 중 최소한 일부는 대부분의 현생 새들과 비슷하게 공기역학적으로 뛰어난 비행솜씨를 선보였으리라는 생각을 뒷받침해주게 되었다. Credit: Stephanie Abramowicz

새들이 진화해온 역사는 매우 길다. 최초의 새 중 하나로 유명한 시조새는 1억 5,000만 년 전, 지금의 독일 남부가 된 지역에 살았다. 하지만 이 초기 새들이 날 수 있었는지, 그리고 날 수 있었다면 얼마나 잘 날았는지는 분명치 않아 논쟁에 묻혔다.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Scientific Reports)’ 에 출판된 새로운 논문에서는 정교하게 배열되어 새의 날개 깃털을 제어했던 근육과 인대를 자세히 연구할 수 있을 만큼 잘 보존된 새의 화석을 보고하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새들 중 최소한 일부는 대부분의 현생 새들과 비슷하게 공기역학적으로 뛰어난 비행솜씨를 선보였으리라는 생각을 뒷받침해주게 되었다.

스페인의 고생물학자들과 로스엔젤레스 자연사박물관의 공룡연구소 소장인 루이스 M. 치아피 박사는 예외적으로 잘 보존되어 스페인 중부에서 발견된 1억 2,500만 년 전의 새 날개 화석을 연구했다. 이 화석에는 뼈 뿐만이 아니라 고대 새의 작은 날개도 보존되어 있어서 현생 조류에서 날개 주 깃털의 미세한 움직임을 조절하여 새들이 하늘을 정복할 수 있게 해준 복잡한 근육의 네트워크까지 자세히 볼 수 있는 상태였다.

“화석에 보존된 근육 네트워크와 살아있는 새들 날개의 특징은 해부학적으로 잘 대응되기 때문에 최초의 새들 중 일부는 대부분의 현생 새들처럼 공기역학적으로 뛰어난 비행솜씨를 지녔으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의 선임과학자였던 치아피의 발이다.

“이 원시적인 새들의 골격을 보면 오늘날의 새들과는 꽤 다르지만 연질부의 구조에 있어서는 놀랍도록 매우 비슷합니다.” 영국 브리스톨 대학의 박사후보생이자 이번 논문의 주저자인 기예르모 나발론의 말이다.

고대의 새들은 공룡의 머리 위로 날아다녔겠지만 이들 초기 새들이 어떻게 비행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은 부분들이 있다. “새롭게 발견된 이 화석은 가장 거대한 공룡들 사이에서 살았던 새들 날개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해 들여다볼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치아피의 말이다. “이런 화석들은 과학자들로 하여금 조류 비행 진화 초기의 가장 정교한 측면들을 해부해 볼 수 있게 해줍니다.” 연구에 참여한 다른 과학자들로는 스페인 마드리드 자치대학의 헤수스 마루간-로본 박사와 호세 루이스 산스 박사, 그리고 안젤라 D. 부스칼리오니 박사가 있다.

참고문헌

Guillermo Navalón, Jesús Marugán-Lobón, Luis M. Chiappe, José Luis Sanz, Ángela D. Buscalioni. Soft-tissue and dermal arrangement in the wing of an Early Cretaceous bird: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avian flight. Scientific Reports, 2015; 5: 14864 DOI: 10.1038/srep14864



카테고리:번역, 고생물학, 공룡, 사이언스 데일리, 중생대

태그:, , , ,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